【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계엄 사태 이후 집회·시위에 투입된 경찰 인력이 급증한 가운데, 일선 현장에서 근무하는 경찰의 피로도가 누적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4일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찰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3개월간 집회·경비 업무에 경찰기동대 총 5462개 부대를 투입했다.
통상적으로 1개 부대에 60명 안팎의 인원으로 구성된 점을 고려했을 때, 3개월 동안 약 32만7000명의 경찰력이 집회에 동원된 것이다. 이는 비상계엄 이전에 비해 월등히 오른 수치다.
지난해 11월 같은 업무에 1677개 부대가 투입됐고 비상계엄이 있던 12월에는 이보다 19.5% 증가한 2005개 부대가 투입됐다. 이후 1월에는 1727개, 2월에는 1730개 부대가 동원됐으며 올해 2월 집회 동원 인력은 지난해 동월과 비교했을 때 49.3% 증가했다.
실제로 지난 21일 서울경찰청 기동대 소속 50대 경찰이 여의도 일대에서 밤샘근무를 한 뒤 과로사를 하는 등 경찰 인력 소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양 의원은 “지난해 12월 계엄사태 이후 집회·시위에 대응하는 기동대 동원 규모가 급증하고 대원들의 근무 강도와 심리적 부담이 크게 증가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집회·시위가 지속적으로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경찰력 운용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국민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경찰청은 지난 10일 물리적 충돌에 대비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일에 헌법재판소 인근인 서울 중구·종로구 일대를 특별범죄예방강화구역으로 지정하고 경계 태세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경찰은 신고일 당일 ‘갑호비상’ 발령을 검토 중이며 전국에서 1만2000여명의 경찰력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국회, 법원, 수사기관 등 국가 주요 기관과 언론사, 정당 당사 등 전국 주요 시설에 대해서도 기동대를 배치해 안전관리에 나설 방침이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식물해방일지, 벼랑 끝 경찰들, 벼랑 끝 소방관
좌우명: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해 쓰겠습니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