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문영서 기자】 올해 1분기 나라살림 적자 규모가 60조원을 넘어섰다. 역대 최고 수준이었던 지난해 1분기(75조30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
15일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2025년 5월호’에 따르면 1분기 관리재정수지는 61조3000조원 적자를 기록했다. 역대 최대 규모였던 전년동기보다 14조원 줄었지만 역대 두 번째 규모 적자다.
3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는 1175조9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4조6000억원 줄었다.
총수입은 159조9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2조5000억원 늘었다.
국세수입은 93조3000억원으로, 8조4000억원 커졌다. 12월 결산법인의 사업실적 개선 및 이자·배당소득 증가 등으로 법인세가 6조5000억원 늘었고, 성과급 지급 확대 및 근로자수 증가 등으로 소득세가 2조8000억원 증가했다.
부가가치세는 환급 증가 및 전년도 세정지원 기저효과 등으로 1조5000억원 감소했다. 교통세는 유류세 탄력세율 인하 부분환원 등으로 3000억원 늘었고, 증권거래세는 증권거래대금 감소 등으로 6000억원 줄었다.
3월 누계 세외수입은 11조3000억원으로 3조9000억원, 기금수입은 55조3000억원으로 2000억원 각각 증가했다.
총지출은 210조원으로, 작년보다 약 2조2000억원 줄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50조원 적자를 기록했다. 통합재정수지에 사회보장성기금 수지(11조3000억원 흑자)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61조3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전년동기 적자와 비교하면 14조원 줄어든 수치다.
3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는 한 달 전보다 4조6000억원 감소한 1175조9000억원이다.
4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20조9000억원으로, 1~4월 누적으로 81조2000억이 발행되며 연간 총 발행한도의 41.1%다. 4월 외국인 국고채 순투자는 9조6000억원이 순유입됐다.
다만 3월 실적은 추가경정예산(추경)이 통과되기 이전 기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