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에너지’·환경부 ‘환경’ 통합
유치 지역엔 전남과 세종 후보로
초대 장관 이소영·김성환 의원 거론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린 주민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br>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린 주민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신문 심희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공약으로 내건 가운데, 새 부처의 역할과 유치 지역, 초대 장관 인선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1일 체코 페트르 피알라 총리와 통화하며 양국 관계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양국 정상은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사업에 대해 “양국 간 경제 협력을 더욱 확대시키는 시금석”이라고 평가했다. 

이 대통령은 원전과 더불어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 정책에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를 위해 기존 정부 조직을 새롭게 개편해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분야와 환경부의 기후 분야를 통합한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할 방침이다. 

산업부 ‘에너지’·환경부 ‘환경’ 하나로

기후에너지부가 출범하게 된다면 산업부의 에너지 분야와 환경부의 기후 분야를 각각 떼어내 통합할 것으로 보인다. 기후에너지부는 이 대통령의 기후위기 대응 컨트롤타워로서 작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기후 위기 대응을 핵심 공약 중 하나로 내세웠다. 33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3)를 유치해 선진국으로서 책임에 걸맞은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또한, 2040년까지 모든 석탄화력발전을 폐쇄하고 RE100 산업단지를 조성해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기후위기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며 사회·경제 문제도 함께 풀어갈 통합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며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해 탄소중립의 초석을 놓겠다. 산업부의 에너지 업무와 환경부의 기후 업무를 한데 모아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재생에너지에 강한’ 전라남도 vs ‘국정운영 효율’ 세종

기후에너지부가 자리할 위치는 전라남도와 세종시 두 곳이 후보로 떠오른다.

전라남도는 재생에너지에 특화된 도로서 지구온난화, 해수면 상승, 태풍, 가뭄 등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추진 중이다. 전라남도는 제3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3) 유치, 여수국가산단·묘도 CCUS와 여수·광양만권 청정수소 클러스터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전라남도 김영록 도지사 역시 기후에너지부의 전남 유치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김 지사는 “이재명 대통령께서 밝힌 ‘기후에너지부 신설’ 공약은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환의 결정적 전기가 될 것”이라며 “에너지수도로서 한전과 전력거래소 등이 있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로 유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김성환 의원은 산업부와 환경부와의 효율적인 협업을 위해 세종시에 유치될 가능성이 크다고 점쳤다. 김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캠프에서 ‘기후에너지부’ 공약을 설계한 바 있다.

김 의원실 관계자는 “아직 뚜렷하게 정해진 것은 없지만 국정 효율을 위해 세종시에 유치될 가능성이 있다”며 “아직 구체적인 논의가 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라 명확한 유지지역을 거론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초대 장관 민주당 이소영·김성환 의원 거론

에너지 업계에선 기후에너지부 초대 장관으로 더불어민주당 이소영과 김성환 의원이 거론된다. 두 의원은 모두 ‘환경 통’으로 꼽히는 인물들이다.

환경운동가 출신은 이 의원은 원내 진출 이후에도 꾸준히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목소리를 높여왔다. 이 의원은 현재 기후위기 특별위원회 위원으로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지난 2월엔 중앙행정기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장이 연도별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면 결과 발표 30일 이내에 새 계획을 제출하도록 하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한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공동정책본부장을 맡아 기후 및 에너지 관련 공약을 설계한 김성환 의원 역시 하마평에 올랐다.

김 의원은 대표적인 ‘재생에너지 전문가’로 꼽힌다. 지난 3월엔 공기 중의 열을 활용하는 공기열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인정하도록 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