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영 의원 “알박기 인사 시정해야”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기관장이 임명된 주요 공공기관 [자료제공=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기관장이 임명된 주요 공공기관 [자료제공=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임명된 공공기관장에 대해 인사 및 조직 쇄신을 통해 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비상계엄 이후 임명된 기관장은 53명이며 그중 22명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후 임명돼 ‘알박기’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23일 정치권에 따르면 전 정부인 윤석열정부에서 임명된 공공기관장에 대한 ‘낙하산 알박기’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2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국회 국정감사 이후 지난 4월 4일 윤 대통령 파면까지 임명된 공공기관 주요 인사는 총 98이며 이 중 84명은 최소 1년 이상의 임기를 보장받고 있다.

정 의원에 의하면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임명된 인사는 53명이며 윤 전 대통령이 탄핵된 4월 4일 이후 새로 임명된 공공기관장도 22명에 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 의원은 “민주당에서 알박기 저지를 촉구한 이후 많은 기관에서 중지 했음에도 불구하고 알박기 인사를 자행했다”라며 “정치적 책임과 국민적 도의는 물론, 제도적 정당성까지 무시한 행위”라고 말했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임명된 기관장 53명의 소관 주무 부처를 보면 국토교통부가 7명으로 가장 많다. 이어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문화체육관광부가 각각 5명으로 뒤를 잇고 있다. 상임감사 중에서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28명의 상임감사가 임명됐다.

정 의원은 “탄핵으로 대통령의 자리가 비어있던 대행 체제에서 각 부처의 장관들이 국민의 눈을 속이고 은밀하게 인사를 단행해왔다”라며 “이는 국민주권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자 정상적 국정운영을 방해하는 인사행위”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는 책임을 묻고 시정돼야 하는 일로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 운영, 그리고 책임 있는 인사 및 조직 쇄신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