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피해자 74명·손실액 4580만원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사옥의 모습 [사진=뉴시스]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사옥의 모습 [사진=뉴시스]

【투데이신문 최주원 기자】 KT 이용자들의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확산되면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운영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이른바 ‘유령기지국’을 통한 해킹 가능성에 주목하며 긴급 대응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는 10일 KT가 이번 침해사고 원인 중 하나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침투를 지목했다고 발표했다.

과기부는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한 불법 접속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 지난 9일 새벽 1시 KT에 즉각적인 차단 조치를 지시했다. 과기부의 요구에 따라 9일 오전 9시부터 신규 초소형 기지국의 망 접속을 전면 차단했다.

KT는 해커가 악용한 불법 장비와 기타 의심 기지국이 운영망에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했다는 입장이다.

당국은 해커들이 불법 장비를 이용해 개인정보를 탈취했는지, 어떤 경로로 무단결제를 실행했는지 정밀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수사 결과는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타 사업자와도 공유해 예방책 마련에 활용할 예정이다.

피해는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6일까지 경기 광명시 소하동·하안동과 서울 금천구 일대 KT 고객들에게 집중됐다. 이들의 휴대전화에서 본인 동의 없이 모바일 상품권 구매나 교통카드 충전 등이 이뤄져 수십만원씩 빠져나갔다.

경기남부경찰청 집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피해자는 74명, 손실액은 4580만원에 달한다. 경기 부천시와 서울 영등포구 등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한 신고가 접수되며 수사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