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훈 전 국방비서관도 5차 소환 조사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채 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을 조사 중인 특검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임기훈 전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을 소환해 집중 조사했다. 윤 전 대통령의 ‘격노’를 두고 특검이 어떤 판단을 내릴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순직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이명현 특별검사팀(이하 순직해병 특검팀)은 25일 이종섭 전 장관을 피의자로 재소환했다. 이 전 장관은 지난 23일 소환된 바 있으며 오는 26일과 28일에도 특검팀의 소환조사가 있을 예정이다.
이 전 장관은 이날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팀 사무실로 출석하며 “조사를 잘 받고 나오겠다”라고 말했다. 취재진의 ‘대통령의 질책을 임성근 사단장을 빼라는 것으로 이해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절대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앞서 이 전 장관은 지난 23일 특검팀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이렇게 줄줄이 엮으면 어떡하냐’는 말을 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채 상병 사망 사건 당시 국방부 장관으로 해병대수사단의 초동 수사에서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가 걸린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혐의자에서 빼도록 외압을 가한 혐의를 받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2023년 7월 31일 이 전 장관과 2분 48초 가량 통화를 하면서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장관은 해당 통화 직후 해병대수사단의 초동 조사 결재를 번복했다.
이 전 장관이 이날 취재진에게 한 답변을 감안하면 윤 전 대통령의 질책은 지시가 아니었기에 법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논리를 펴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전 장관은 국방부검찰단의 경찰 이첩 수사기록 회수와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에 대한 입건과 수사가 자신의 지시라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특검팀은 일련의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는지 살펴보고 있다.
같은 날 순직해병 특검팀은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도 소환해 5차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다. 임 전 비서관은 전날인 지난 24일에도 특검팀 사무실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
임 전 비서관은 2023년 7월 31일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채 상병 사망 사건 초동 수사결과를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전화해 윤 전 대통령의 격노를 전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임 전 비서관은 지난 7월 특검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겠냐’는 취지의 호통을 쳤다는 진술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는 특검팀 사무실에 출석하면서 “특검에서 다 성실히 말씀드리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청년정책], [탈서울 인지방], [2023 전국동시조합장선거], [좋은주택 만들기], [건설산업 선진화], [농민권리를 외치다]
좌우명: 지난이진(知难而进)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