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LG CNS·LG엔솔, 아시아 최대 전시회 첫 동반 출격

관람객들이 지난 8일부터 싱가포르에서 열린 ‘데이터센터 월드 아시아(Data Center World Asia) 2025’에서 평택 칠러공장 내 마련된 ‘AI 데이터센터 전용 테스트베드’ 축소 모형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LG전자]
관람객들이 지난 8일부터 싱가포르에서 열린 ‘데이터센터 월드 아시아(Data Center World Asia) 2025’에서 평택 칠러공장 내 마련된 ‘AI 데이터센터 전용 테스트베드’ 축소 모형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LG전자]

【투데이신문 최주원 기자】 LG전자가 LG CNS,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싱가포르에서 열린 ‘데이터센터 월드 아시아 2025’에 처음으로 공동부스를 차리고, AI 데이터센터에 최적화된 ‘원(One) LG’ 통합 솔루션을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LG그룹 계열사들이 원 LG 통합 솔루션을 구축한 것은 급성장하는 AI 인프라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원 LG 솔루션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짓는 1000억원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따낸 바 있다.

LG전자는 냉각 솔루션을 맡았다. 이번 전시에서 냉각 용량을 기존 650kW에서 1.4MW로 두 배 이상 키운 냉각수 분배 장치(CDU) 신제품을 처음 공개했다. 고성능 AI 칩의 발열 문제가 심화되면서 대용량 냉각 장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빅테크 기업들이 전력 효율화를 위해 직류 전력 사용을 늘리는 추세에 맞춰 직류(DC) 기반 냉각 솔루션을 개발했다. 기존 교류 방식보다 에너지 손실을 10% 줄이면서 탄소 배출도 감축할 수 있다.

LG CNS는 설계부터 구축, 운영까지 전 과정을 책임지는 DBO(Design-Build-Operate) 역량을 앞세웠다. 특히 컨테이너 크기에 데이터센터 운영 요소를 집약한 ‘AI 박스’는 건축 제약을 최소화하고 구축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차세대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무정전 전원장치(UPS) ‘JP5’로 안정적 전력 공급을 담당한다. 높은 에너지 밀도로 좁은 공간에서도 백업 전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게 강점이다.

아시아는 AI와 클라우드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증하는 지역이다. 동시에 에너지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LG전자는 앞서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의 중동 최대 넷제로 AI 데이터센터에 냉각 솔루션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LG전자 ES사업본부 이재성 부사장은 “차별화된 통합 솔루션으로 급성장하는 AI 데이터센터 시장에 선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