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투데이신문 문영서 기자】9월 시중 통화량(M2)이 30조원 증가해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간 가운데 잔액 또한 4430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증시 호조로 주식형을 중심으로 수익증권이 증가세를 지속한 데다가 증시 투자 대기성 자금 유입이 더해진 탓이다.

12일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발표한 ‘2025년 9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올해 9월 M2(광의통화, 평잔)는 전월대비 30조3000억원(0.7%) 증가한 4430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역대 최대치로 6개월째 증가세다. 다만 상승폭은 전월(+1.3%)보다 축소됐다. 전년 동월보다는 8.5% 늘었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MMF(머니마켓펀드),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다. 통상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의미한다.

상품별로 요구불예금은 9조5000억원 늘며 전달(+3조7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커졌다. 수익증권은 12조8000억원에서 5조7000억원으로 증가 폭이 축소됐다.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도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 및 투자대기성 자금 유입 영향으로 14조3000억원에서 6조8000억원으로 증가 폭이 좁혀졌다. 

주체별로 기업은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및 수익증권을 중심으로 10조3000억원 늘었고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8조9000억원 증가했다.

기타금융기관은 수시입출식정기예금을 중심으로 1조8000억원 증가했고, 기타부문은 수익증권 및 정기예적금을 중심으로 6조9000억원 확대됐다.

협의통화(M1) 평잔은 1330조6000억원으로 전월대비 1.4% 증가했다. 전월(+1.5%)보다는 증가 폭이 축소됐다. 전년동월대비로는 7.4% 늘었다.

금융기관 유동성은 6013조2000억원으로 전월대비 0.7% 증가했다. 광의 유동성은 7529조3000억원으로 전월말 대비 1.0% 증가했다.

한은 김지은 금융통계팀 차장은 “주가 상승으로 주식형 등 수익증권이 늘고 있고, 투자 대기성 자금도 증가했다”면서 “9월에는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일시 자금 유입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키워드

#유동성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