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3자 구도로 갈 것인가

   
 

추미애 시대 개막, 친문 세력 공고화…文 대선 파란불
문재인, 추미애 등 업고 야권 단일후보 주장 펼칠 듯

국민의당 등 반문 세력, 단일화 대신 독자 후보 선택할 듯
새누리당 vs 더불어민주당 vs 반문의 3자 구도로 재편

더불어민주당이 새 당 대표로 추미애 의원이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됐다. 이로 인해 문재인 전 대표 대세론이 완전히 구축되는 모습이다. 물론 문재인 전 대표 대세론이 부각되면서 반문 세력은 더욱 바빠진 모습이다. 과연 내년 대선은 야권 단일후보가 탄생할 것인가 아니면 제3 후보가 나서면서 3자 구도로 갈 것인가의 기로에 놓인 모습이다. 야권 대선 지형이 요동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제 대선은 한 치 앞도 내다보기 힘들 정도로 혼탁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 더불어민주당 새 당 대표에 추미애 의원이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됐다. 추미애 당 대표와 더불어 최고위원들도 친문 인사로 채워졌다. 이에 따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의 대권 가도에 일단 파란불이 켜졌다. 물론 추미애 당 대표는 수락연설에서 ‘꽃가마는 없다’라고 못을 박았다. 즉, 문재인 전 대표를 꽃가마 태우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비록 친문 지도부라고 하지만 대놓고 문재인 전 대표를 지지하는 등의 모습은 보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재인 전 대표에게 유리한 대선 경선 룰도 짜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친문 지도부이기 때문에 문재인 전 대표가 대선 경선에서 유리할 수밖에 없다. 정치 초년생들도 문재인 전 대표가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로 선출될 것이라는 것쯤은 예측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얼마나 공정한 룰을 갖고 얼마나 공정하게 관리가 된 가운데 선출되느냐는 것이다. 불공정한 룰이나 관리의 기미가 보인다면 친문 패권이라면서 대대적인 공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文 한시름 놓아

또 다른 문제는 과연 문재인 전 대표에 대항해서 누가 대선 경선에 나올 것인가이다. 만약 대항마가 나오지 않는다면 대선 경선은 그야말로 문재인 전 대표 원맨쇼가 된다. 어찌 됐던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로는 문재인 전 대표가 이제 한 발 바짝 앞으로 다가간 모습이다. 그래서 그런지 문재인 전 대표는 야권 단일 후보론을 제시하기 시작했다.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야권 단일 후보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3자 구도를 갈 경우 필패할 것이라는 것이다. 그동안 대선이 양자구도 일 경우에도 겨우 승리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집권 여당은 계파 갈등을 보이다가도 대선을 앞두고 통일된 모습을 보여줬다. 때문에 집권을 할 수가 있었다. 반면 야당은 대선을 앞두고 계속해서 분열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항상 집권의 기회를 놓쳤다. 때문에 이번에도 야권이 분열되면 정권교체는 물 건너간다는 생각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야권 단일후보론을 문재인 전 대표 측에서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나 국민의당이나 모두 야권 후보를 선출한 후 다시 야권 단일 후보로 통합하는 등의 방식을 취하자는 것이다. 물론 그 이전에 더불어민주당이나 국민의당이 통합하면 금상첨화라는 것이다.

하여간 어떤 방식으로든 내년 대선을 앞두고 후보 단일화를 이끌어내서 대선 승리를 거머쥐자는 것이 단일 후보론이다. 문재인 전 대표 측은 야권 단일후보론을 내세워도 그만큼 자신감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아직까지 야권에서는 문재인 전 대표의 지지율을 꺾을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친문 지지자들의 충성도가 상당히 높다. 따라서 각종 행사에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전당대회에서도 지난해 연말 가입한 10만 온라인 당원이 절대적 역할을 했다. 이들 중 일부는 권리당원이 됐고, 이들 중 일부는 대의원이 됐다. 그리고 그들이 추미애 당 대표를 만든 것이다. 그만큼 충성도가 강하고 적극적이다. 따라서 내년 대선 경선 과정에서도 절대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전 대표로서는 야권 단일후보론을 내세울 든든한 지원군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화되는 제3후보론

반면 국민의당 등 제3 지대의 인물들은 제3 후보론 카드를 꺼내들고 있다. 반문 세력이 하나로 뭉쳐서 문재인 전 대표의 대항마를 내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안철수 전 대표가 내년 대선을 양극단과 합리적 개혁세력의 대결이라고 규정했다. 사실상 제3 후보론에 힘을 실어주는 모습이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지난 27일 더불어민주당 손학규 전 상임고문을 만나 “국민의당에서 안철수 전 대표와 경선을 통해 정권 교체의 기틀을 마련해 달라”고 제안했다. 이날이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라는 점에서 이들의 만남은 단순한 만남이 아니라고 해석되고 있다. 안철수 전 대표와 박지원 위원장의 언행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새누리당 대선 후보,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그리고 국민의당과 다른 세력이 합한 제3 후보 등 3자 구도를 염두에 두고 있는 듯 한 모습이다. 다시 말하면 야권 단일 후보 대신 제3 후보를 띄울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지난 총선 당시에도 제3 정당론을 부각시켜서 국민의당이 바람을 일으켰다. 그런 바람을 다시 일으키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문재인 전 대표 측이 야권 단일후보론을 내세우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야권 단일화가 쉽게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독자후보론을 내세우면서 3자 구도로 가겠다는 것이다. 반문 세력 제3 후보는 중도 보수를 지향해서 외연확장을 이뤄내 정권교체를 이뤄내겠다는 것이다. 이는 지난 총선의 선거 전략과 비슷하다.

독자후보론 힘 받을까

하지만 독자적인 제3 후보론이 과연 얼마나 힘을 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왜냐하면 야권이 정권을 잡지 못할 상황으로 치닫게 된다면 그 비난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제3 후보론을 내세웠는데 정권교체에 실패를 하게 된다면 제3 후보를 비롯해 반문 세력이 야권에서 발을 붙이고 살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반문 세력도 대선 이후 그 후폭풍을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고 나면 결국 야권 단일화를 이뤄낼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그 상황에서 여러 가지 변수가 튀어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이는 다시 말하면 반문 세력 중에 일부는 야권 단일화를 주장할 것이고, 일부는 독자후보론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게 되면 또다시 분열이 될 수밖에 없다.

어쨌든 반문 세력은 더불어민주당이 추미애 당 대표로 선출되면서 보다 반문 세력은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독자 후보를 구체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미애 당 대표가 과연 이런 독자세력화 움직임을 저지하고 야권의 빅텐트를 칠 수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할 문제다. 추미애 당 대표에게 커다란 숙제가 남은 셈이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