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신문 윤혜경 기자】 시장점유율 1위인 유한킴벌리 생리대에서 발암물질이 가장 많이 검출됐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유한킴벌리가 ‘사실무근’이라며 적극 반박했다.
유한킴벌리는 자사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현재 논란이 되는 생리대 안전성 이슈와 관련된 일부의 ‘유한킴벌리 생리대에서 최다 검출’ 주장은 왜곡된 내용”이라고 4일 밝혔다.
앞서 한 매체는 강원대 김만구 교수팀의 1차 실험 결과표와 여성환경연대가 익명으로 공개한 최종 결과표를 인용해 유한킴벌리 중형 생리대에서 1‧2군 발암물질이 가장 많이 검출됐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유한킴벌리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일부 단체의 시험결과를 과학적으로 신뢰하기 어렵다고 발표한 바 있다”며 선을 그었다.
식약처가 이미 김만구 교수팀과 여성환경연대가 진행한 연구결과에 대해 신뢰하기 어렵다는 공식 입장을 냈음에도 해당 결과를 인용했다는 것 자체가 공신력 없다는 것이다.
유한킴벌리 측은 “설혹 이를 인용하더라도 그 수치는 실내 공기 질 기준 대비 수백분의 일 수준에 불과하다. 대한의사협회에서도 ‘이번 시험만으로는 해당 물질의 유해성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고 발표했다”라며 “또한 이번 시험 결과에서 제시된 벤젠, 톨루엔, 스티렌, 자일렌의 경우 유한킴벌리 생리대는 공인시험기관의 시험을 통해 이미 ‘검출 한계 미만 불검출’ 결과를 확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식약처에서는 천 생리대와 생리컵 등 56개 회사 896개 품목의 생리대 전수조사를 하고 있다. 유한킴벌리는 식약처 조사에 적극 협조함으로써 보다 엄격한 생리대 안전기준이 확립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