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바른정당 손잡으려다 분당사태 일어나나

혁신위 ‘박근혜·서청원·최경환 나가라’…자진 탈당 통보
자진 탈당 없으면 출당 논의…친박 반발이 걸림돌로
바른정당과의 통합·1심 선고 등 복잡한 경우의 수
정기국회 내에 정계개편 가능성은 열려 있는 상황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 자유한국당 혁신위원회가 박근혜 전 대통령과 친박계 서청원·최경환 의원에게 자진 탈당을 권유했다. 만약 자진 탈당을 하지 않으면 당헌·당규에 따라 출당조치를 하기로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울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박 전 대통령과 서청원·최경환 의원의 탈당이 쉽게 이뤄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정가에서는 당초 혁신위가 아무리 빨라도 10월이나 돼야 박 전 대통령의 출당과 친박 인적 청산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그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이처럼 박 전 대통령의 출당 문제가 빨리 다뤄진 것은 아무래도 바른정당의 내부 사정 때문이다. 이혜훈 전 대표가 금품수수 의혹으로 인해 당 대표직에서 내려오면서 바른정당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갈 것이냐, 권한대행 체제로 갈 것이냐를 두고 깊은 고민에 빠졌다. 그리고 유승민 비대위원장 체제로 거의 가닥을 잡았다. 하지만 통합파가 반발하면서 결국 정기국회 회기 중에 전당대회를 치른다는 이상한(?) 결론을 내렸다. 그만큼 바른정당 내부 사정은 복잡하다.

박근혜 출당 가능성은
이처럼 바른정당의 내부 사정이 복잡할 때 자유한국당이 박 전 대통령의 출당 문제를 완벽하게 매듭짓는다면 바른정당과의 통합 문제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바른정당이 오는 11월 전대를 치른다고 결론 내린 이유도 자유한국당의 박 전 대통령 출당 문제를 보고 전대에서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통합 문제도 한꺼번에 논의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그만큼 박 전 대통령의 출당 문제는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에 있어 중요한 문제다. 홍준표 대표도 이 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박 전 대통령의 출당 문제를 계속 꺼내 들었고, 결국 출당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에 이른 것이다.
일단 박 전 대통령과 친박 인사들에게 자진 탈당을 권유하는 방식이 됐지만 만약 자진 탈당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출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출당 논의 시기에 대해서 홍 대표는 박 전 대통령의 1심 선고가 있을 오는 10월까지는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아무래도 박 전 대통령의 1심 선고 결과를 보고 출당 여부에 대해 논의하자는 것이다. 지금으로서는 전직 당 대표이고 전직 대통령으로서 예우를 갖추자는 차원에서 자진 탈당이라는 형식을 빌린 것이지 결국 출당으로 귀결될 것이라는 것이 정치권 안팎의 시각이다. 박 전 대통령은 자진 탈당 권유 소식을 듣고도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아마도 자진 탈당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자유한국당은 결국 이들의 출당 문제를 논의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박 전 대통령을 출당시키기 위해서는 의원총회를 열어야 하고 의원 2/3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는 점이다. 아무리 세력이 위축됐다고 해도 친박은 건재하다. 또한 지난해 총선 공천에서 친박 인사들이 대거 공천됐다는 점에서 자유한국당에는 누가 뭐래도 아직까지 친박 세력이 있고, 일정 부분의 지분을 유지하고 있다. 때문에 박 전 대통령 출당 논의를 위한 의총이 열린다고 해도 결과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친박이 출당 반대표를 던진다면 박 전 대통령의 출당은 물 건너가게 되는 셈이다. 홍준표 대표 지도부나 혁신위가 결국 박 전 대통령의 출당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친박과 일정 부분 합의를 봐야 한다는 이야기다. 이에 일각에서는 박 전 대통령의 출당, 최경환·서청원 의원의 자진 탈당 선에서 마무리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최경환·서청원 의원이 자진 탈당하는 대신 다른 친박 인사들의 인적 청산은 아예 덮어두는 선에서 마무리를 하려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사실 박근혜 정부 하에서 박 전 대통령을 옹호했던 친박 인사들 중 상당수는 아직도 자유한국당 내에 있다. 혁신위가 이들에게마저도 칼날을 들이대려고 한다면 들이댈 수 있다. 친박으로서는 이들의 인적 청산을 막아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때문에 최경환·서청원 의원이 자진 탈당하는 대신 다른 친박 인사들은 건드리지 않는 선에서 마무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친박의 도움이 없이는 박 전 대통령의 출당을 의총에서 결론 내리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1심 선고는 언제
문제는 시기다. 홍 대표는 박 전 대통령의 1심 선고가 있을 10월을 이야기했다. 하지만 법조계 안팎에서는 10월 안에 박 전 대통령의 1심 선고가 나올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아무리 빨라도 11월 중순이나 돼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박 전 대통령의 출당 문제는 11월 중순이나 가야 의총에서 결론 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바른정당 전대가 11월경 있다. 자칫하면 자유한국당 의총이 바른정당 전대 이후에 열릴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되면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통합 문제가 바른정당 전대에서 논의될 확률은 떨어지게 되는 셈이다. 따라서 홍 대표 입장에서는 바른정당 전대 전에 박 전 대통령의 출당 문제를 마무리하려 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박 전 대통령의 1심 선고 전에 의총을 강행할 경우 친박의 반발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의총을 연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분당사태 맞이할까
정치권의 또 다른 일각에서는 박 전 대통령과 서청원·최경환 의원의 출당 문제가 의총에서 거론되고, 만약 확정된다면 자유한국당은 분당 사태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그 이유는 친박의 반발 때문이다. 박 전 대통령과 서청원·최경환 의원이 출당되면 사실상 친박이 와해된다. 내년 지방선거는 물론 차기 총선도 기약할 수 없는 상황이 되는 셈이다. 그럴 바에는 자유한국당에서 탈당해서 새로운 보수정당을 창당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을 가능성도 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바른정당 20명과 손잡으려다가 40여명을 잃을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워 먹는 격이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통합 전제조건인 박 전 대통령의 출당과 친박 인적 청산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때문에 정치권 안팎에서는 여러 가지 복잡한 경우의 수가 난무하고 있다. 그만큼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지도부도 머리가 아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정기국회 도중 정계개편이 일어날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는 것이다. 박 전 대통령의 출당과 서청원·최경환 의원의 출당 문제가 그 시발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내년 지방선거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야말로 폭풍우가 몰려오고 있는 형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