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션3
ⓒ스테이션3

【투데이신문 이정훈 기자】 서울에서 연립·다세대(빌라) 월셋집을 구하기 위해서는 평균 월세 62만원에 보증금 5683만원 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서비스하는 스테이션3가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연립·다세대 평균 월세와 보증금 추이를 조사한 결과, 7월 기준 평균 월세는 62만4000원이었다. 이는 부동산원이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15년 7월 이후 최고치다.

같은 기간 평균 전세금은 2억4300만원으로 전월세전환율이 4%라는 점을 감안하면 월세보증금이 1000만원일 경우 월세는 78만원까지 오른다. 이는 올해 기준 4인가구 중위소득(487만5290원)의 16%에 해당한다.

종로구·중구·용산구가 포함된 서울 강북 도심권과 강남 동남권의 서초·강남·송파·강동구의 빌라 평균 월세는 각각 84만4000원과 88만8000원로 서울 평균치를 35% 넘었다. 은평·서대문·마포구의 강북 서북권은 55만7000원, 양천·강서·구로·금천·영등포·동작·관악구 등 강남 서남권은 52만1000원으로 서울 평균치를 밑돌았다.

서울 빌라 평균 월세 보증금은 5683만7000원이었다. 이 또한 역대 최고 수준으로 전국 평균 2886만1000원에 비해 2배 가량(96.9%) 높다.

서울에서 월세 보증금이 가장 높은 강북 도심권은 9480만4000원이고 그 뒤로 강남 동남권은 8782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경기도 또한 월세와 월세보증금 모두 역대 최고치를 보였다.

경기 경부1권(과천·안양·성남·군포·의왕)빌라 평균 월세는 98만4000원으로 전국 시·군·구 권역 중 가장 높았다. 경기 평균 월세는 50만원으로 약 2배에 이른다.

경부1권의 평균 월세 보증금도 7394만9000원으로 경기도 평균치인 2730만5000원의 2.7배에 달했다. 경부1권 다음으로 높은 경의권(김포·고양·파주)은 2722만9000원, 동부1권(남양주·구리·하남·광주)은 2703만7000원으로 나타났다.

다방 관계자는 “임대 시장 수급 균형이 깨지면서 월세와 월세 보증금이 모두 오르고 있다”며 “계약갱신청구권 등 임대차 3법으로 내년 임대 물량도 묶일 가능성이 커 수급 상황이 급격하게 좋아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