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관련 사건에 증권사 직원 가담...이후 자금 활용 투자
문제 발생 후 자금 유입까지 증권사 통제 어렵다 지적도
내부통제 실패 사례 늘면서 금융권 책임론 대두돼 눈길
【투데이신문 임혜현 기자】BNK경남은행에서 발생한 부동산파이낸싱(PF) 횡령 사태가 금융권 전반에 큰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처음에는 PF금융 부실 논란을 재연해 금융 경색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를 산 가운데, 횡령액과 관련 영역이 커지고 있는 것.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횡령 사건은 당초 은행 자체 검사와 금융감독원 조사에서 파악된 사고액 500여억원보다 훨씬 큰 1000억원대 사건으로 번지고 있다. 아울러 경남은행 부장 A씨 외에도 범행의 공범으로 증권사 직원 B씨가 개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B씨는 한국투자증권 직원이다. 이에 따라 이번 사건으로 한국투자증권 역시 내부통제 소홀에 대한 비판 사정권 내에 들어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추가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직원은 B씨는 2016년 8월~2021년 10월 은행원 A씨와 공모해 경남은행 PF 대출금을 출금하는 데 필요한 출금전표를 임의로 작성하고, 해당 시행사 직원을 사칭하는 등의 수법으로 가담했다. 금융권 지식으로 횡령과 이후 처리를 쉽게 했다는 비판을 받는 대목이다.
특히 B씨는 한국투자증권에 재직하며 이씨가 횡령한 자금의 관리 및 주식 투자를 이어갔다.
다만 B씨 행각에 대해 어떻게 볼지는 논란도 없지 않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사고는 경남은행에서 일어난 것이고 이후 자금 일부가 증권으로 들어왔다고 해도 문제된 자금인지 알 길이 없는 것”이라며 “따라서 내부통제 실패라기 보다는 직원 개인의 일탈로 봐야 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임혜현 기자
todaynews@ntoday.co.kr
담당분야: 경제산업
주요기획: [‘지급거절·모르는 척’ 1등 삼성생명, 오너 지배구조 유지 쓰였나], [소비자 부담·규제패싱 들러리? 현대카드 애플페이, 외화내빈 우려]
좌우명: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오늘의 기록 다른기사 보기
주요기획: [‘지급거절·모르는 척’ 1등 삼성생명, 오너 지배구조 유지 쓰였나], [소비자 부담·규제패싱 들러리? 현대카드 애플페이, 외화내빈 우려]
좌우명: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오늘의 기록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