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부터) 신기태 산학협력본부장, 원예선 운영위원장, 김시곤 전 교통학회장, 이창운 원장, 김종열 비엠아이앤씨 대표, 김연명 항공위원장, 김용원 모빌리티위원장, 이은형 선임연구원 [사진제공=인프라경제연구원]<br>
(좌측부터) 신기태 산학협력본부장, 원예선 운영위원장, 김시곤 전 교통학회장, 이창운 원장, 김종열 비엠아이앤씨 대표, 김연명 항공위원장, 김용원 모빌리티위원장, 이은형 선임연구원 [사진제공=인프라경제연구원]

【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도심항공교통(UAM) 시대를 맞아 항공 모빌리티 인프라를 주제로 열린 포럼 ‘모빌리티&인프라’가 성황리에 마무리 됐다. 

인프라경제연구원은 지난 30일 오후 3시 서울 서초구 자동차산업협회 6층 모하비홀에서 ‘모빌리티&인프라 항공 부문 포럼’이 개최됐다고 1일 밝혔다. 

UAM은 도시 내에서 개인의 필요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 비행할 수 있는 수요 대응형 공중 이동수단을 말한다. 

활주로가 불필요해 공간적 제약이 적고 자동차로 1시간 거리를 20분 만에 이동할 수 있어 시장 교통 정체 해소는 물론, 차세대 이동수단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포럼은 인터넷경제지 하비엔이 주최를 맡고 인프라경제연구원 주관으로 진행됐으며 메타버스 콘텐츠 플랫폼 Playin과 Playin 스튜디오를 서비스하고 있는 핑퐁 등이 후원했다.

이날 포럼에 앞서서는 인프라경제연구원 신임원장으로 전 한국교통연구원 이창운 원장을 선임했으며 각 분야별 위원장들도 새롭게 임명했다. 

분야별 위원장들의 명단에는 ▲장기철 재경위원장(재경전북도민회/수제천보존회 이사장) ▲신기태 산학협력본부장(교통대 교수) ▲김연명 항공위원장(한서대 교수) ▲김용원 모빌리티위원장(자동차산업협회 본부장) ▲강휘진 안전위원장(서강대 교수) ▲권영인 도로·글로벌교통위원장(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원예선 운영위원장(세륜여행사 대표) ▲이은형 간사(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이창운 원장은 포럼 기념사를 통해 “올해 대통령 선거가 있었지만 공약에도 유무형의 인프라 공약이 많다”라며 “그만큼 인프라가 중요한 요소인 만큼 우리 인프라경제연구원도 제2의 도약을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포럼 주제로 모빌리티 인프라를 선택한 것은 교통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모빌리티 분야이기 때문이다”라며 “이 분야는 앞으로 교통 인프라산업의 대세를 이룰 것”이라고 덧붙였다. 

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한 김시곤 전 교통학회장은 “서울에서 부산으로 간다고 생각하면 비행기를 타고 갈 수도 있고, 배를 타고 갈 수도 있다. 또 철도를 타고도 갈 수 있다”라며 “하지만 도시교통에서는 아쉽게도 그동안 3차원이 없었다. 도로나 철도는 있었지만 항공이 없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UAM은 도시교통에서 부족한 3차원을 채워줄 교통수단”이라며 “UAM 포럼은 시기적절한 시점에 개최됐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