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
[표 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

【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국내 3040대 장기 비경제활동인구의 90%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인적자원 활용 측면에서 큰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25일 ‘최근 여성고용 동향 및 개선과제’ 보고서를 발표하고 노동력 유휴화 현상 등의 문제점을 지목, 정책 패러다임 변화를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경총의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여성고용의 특징은 ▲여성 노동력 유휴화 현상 지속 ▲경력단절곡선의 학력별 분화 및 고착화 ▲성별로 차별화되는 실업 상황 등으로 분류된다. 

실제 지난 2021년 기준 1년 이상 장기 비경제활동인구의 70.5%는 여성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핵심 경제활동 연령인 30~40대의 경우 비경제활동인구 중 90% 이상이 여성으로 나타났다.

나이대 별로 살펴보면 30대는 23.9%, 40대는 24.4%가 비경제활동 상태에 있어 국가 인적자원 활용 측면에서 상당히 큰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표 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
[표 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

최근 5년간(2017~2021) 경력단절곡선의 학력별 분화 흐름도 고착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먼저 대졸 이상 고용률 그래프는 완만한 M자 형을 보였는데 20대 고용률은 높은 편이었으나 30대부터 하락하기 시작해 다시 회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대졸 여성은 가파른 M자형으로 분석됐다. 초대졸의 경우 20대 후반과 30대 후반의 고용률 격차가 20.8%p로 다른 학력보다 큰 등락을 보여 경력단절 현상을 가장 심하게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졸 이하 여성의 고용률 그래프는 완만한 역U자형을 보였는데 이는 다른 학력에 비해 노동시장 진입과정 자체의 어려움이 두드러진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밖에도 같은 기간 남성 실업자는 연평균 약 0.6% 감소한 반면 여성 실업자는 약 2.1% 증가해 성별에 따른 격차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총 고용정책팀 최윤희 책임위원은 “현재까지 기업 단위에서 여성 인력의 노동시장 이탈방지에 초점을 둔 여성고용 유지정책이 여성 인력 저활용 문제를 크게 개선시키지 못했다”라며 “앞으로는 노동시장 유연성 강화를 비롯해 노동시장 단위에 초점을 맞춘 정책으로 보다 많은 여성 인력이 손쉽게 노동시장에 재진입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여성 장기 비경제활동인구를 시장으로 유인할 수 있도록 2번째 소득원에 대한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하고, 산업 전환기에 적합한 교육‧훈련을 강화해 일자리가 늘어나는 산업 쪽으로 여성 인력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