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전유정 기자】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에 재직 중인 여성 인력 비율이 21.5%에 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은 3일 4709개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인력활용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한 ‘2020년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영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실태조사는 2005년부터 매년 실시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재직 △채용 △보직·승진 △교육·훈련 △연구개발 활동 △일‧가정 양립 지원 등 복지제도 운영현황을 조사한다.
조사 결과 2020년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에 재직 중인 여성과학기술인은 총 5만4201명으로 전체 중 21.5%였다. 2020년 신규 채용된 인력 중 여성의 비율은 28.1%로 절반도 채 되지 않았다.
또한 직급이 높을수록 남녀 성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채용 단계에서 28.1%였던 여성 비율은 재직 21.5%, 보직(관리직) 12%, 연구과제 책임자 11.4% 등 직급이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특히, 민간 기관에 재직 중인 여성과학기술인은 전체 여성과학기술인력 중 53.1%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신규채용 20.9%, 재직(고용) 16.3%, 보직(관리직) 9.4%로 여성인력 활용도가 낮았다.
조사 대상 기관들의 일·생활 양립을 위한 제도 운영률은 60.5%로 나타나났다. 불임휴직제, 수유시설 운영, 유연근무제, 일반 휴직, 휴게실 등의 자율적제도 운영률은 60.5%로 다소 미흡한 수준이었다.
직장어린이집을 의무적으로 둬야 하는 기관의 설치 비율은 공공연구기관 94.4%, 대학 72.4%, 민간 연구기관 54.8% 순으로 낮게 집계됐다.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안혜연 이사장은 “여성과학기술인의 경력단절 예방 및 복귀 지원을 지금보다 더 확대하고, 민간기업의 여성인력 활용을 적극적으로 독려하는 유도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여성과학기술인의 경력 이탈 방지와 여성의 이공계 유입 확대, 즉 모수를 절대적으로 늘리는 정책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지난해 육아휴직자 4명 중 1명은 ‘남성’...4년간 꾸준히 증가
- 이대女 73%·이대男 29% “한국사회, 여성에 더 불평등”
- 코로나19 발생 이후 직장 내 남녀 차별 없는 유일한 항목은 ‘감염률’
- 청년 33%, 첫 일자리 비정규직으로 시작... 졸업 후 취업까지 평균 11개월
- “건설현장 여성 노동자들의 오줌권을 보장하라”
- 국민 10명 중 4명, “차기 정부서 남녀 일·생활 균형 지원 필요”
- 고용보험 가입자 1475만3000명…4개월째 50만명대 증가
- 노인 노동자 97.6% “71세까지 계속 일하기 원해”
- 3040 비경제활동인구 90%가 여성…경총 “정책 패러다임 바꿔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