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국민 10명 중 4명은 차기 정부에서 가장 우선으로 추진해야 할 성평등 정책 과제로 ‘남녀 모두의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확대’를 선택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22일 ‘제3차 전환 시대의 양성평등 정책 연속포럼’ 개최를 앞두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설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올해 1월 5일부터 20일까지 전국 만 18~69세 성인 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남녀모두 성평등 정책 우선 과제로 ‘일과 생활 균형 지원(40.9%)’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여성폭력·성착취 근절 및 피해자 보호 강화’(31.%), ‘돌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22.8%) ‘공공·민간부문 고위직에서 남녀의 동등한 참여 실현’(19.3%), ‘성·재생산 권리 및 건강보장’(18.1%)가 뒤를 이었다. 이를 두고 연구원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하 코로나19) 시기 재택근무 등으로 남녀 모두 일·생활 균형에 어려움을 느끼면서 관련한 정책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은 돌봄 국가 책임 강화(25%)를 2위, 여성폭력 근절·피해자 보호(24.2%)를 3위로 선택했으며 여성의 경우 여성폭력 근절·피해자 보호(38%), 돌봄 국가 책임 강화(20.5%)를 각각 성평등 과제 2·3위로 꼽았다.
지난 5년간 성평등 정책 가운데 가장 큰 성과를 거둔 영역에 대해서도 설문 조사가 이뤄졌다. 이에 응답자 40.3%가 일·생활 균형을 위한 사회 기반 조성을 택했다. 이어 남녀가 평등하게 일할 권리와 기회 보장(38.4%), 성평등 인식 개선 및 문화 확산(32.7%) 등 순으로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또한 향후 여성가족부가 중점적으로 강화했으면 하는 기능으로 ‘여성 경제활동 참여 지원(48.5%)’을 선택한 응답자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여성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47.4%), 아이 돌봄과 다문화가족 등 다양한 가족지원(38.4%), 양성평등 정책 추진 지원·조정(26.5%)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문유경 원장은 “일·생활 균형과 돌봄 등에 대한 공적 책임 강화, 성별, 세대별 등 사회적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 국민들이 공감하고 바라는 양성평등정 책의 향후 방향에 대한 포괄적이고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한국 기업 이사회 여성 비율 약 4%…72개국 중 최하위권
- 초1 자녀 둔 학부모 10명 중 7명, 돌봄 이용 희망…매년 증가세
- [다양성 끌어안기] 젠더에 기반한 폭력으로 인한 ‘죽임’, 이제는 끝내자
- [3.9 대선 집중분석③] 이대남·이대녀 표심은 어디로
- 서울 여성 28%·남성 31% “결혼 안 해도 아이는 가능”
- 코로나19 신규 확진 환자 17만1452명…하루새 7만 여명 폭증
- 서울시,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료 최대 90% 특례지원
- ‘5년 간’의 긴 기다림…성공회대, 국내 대학 최초 ‘모두의 화장실’ 설치
- 과학기술 연구기관 재직 여성 비율, 10명 중 2명에 불과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