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홍대 인근 거리에서 시민들이 거리를 걷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뉴시스
서울 마포구 홍익 대학교 인근 거리에서 시민들이 거리를 걷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뉴시스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서울 거주하는 남녀 3~4명 중 1명꼴로 결혼하지 않아도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3일 서울에 거주하는 여성과 남성의 생활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021년 서울시 성인지 통계:통계로 보는 서울 여성’을 발표했다. 성인지 통계는 2018년~2021년 생산된 ‘인구주택 총조사’ 등을 토대로 주요 부문별 성별 분리 종합 데이터를 구축해 제작됐다. 

해당 통계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여성 28.1%는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답변했으며, 같은 응답을 한 남성 비율은 31.6%로 집계됐다. 또한 “남녀가 결혼을 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은 여성 58.1%, 남성 60.8%로 남녀 모두 절반을 넘었다. 또한 남성(52.7%)은 여성(47.2%)보다 ‘결혼생활에 있어 당사자보다 가족 간의 관계가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인구변화를 살펴보면 지난해 2분기 서울시 주민등록인구는 약 979만명이며, 그중 여성이 51.4%(약 503만9000명)으로 남성 48.6%(약 475만6000명)보다 더 높았다. 서울시 인구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50.2%) 이후 꾸준하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로는 여성, 남성 모두 유소년(0~14세) 인구비율은 줄고, 고령인구(65세 이상)는 크게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유소년 인구비율의 경우 여성은 2005년 15.7%에서 2020년 10.1%로, 남성은 2005년 17.5%에서 2020년 11.2%로 줄었다. 반면 고령인구는 같은 기간 여성 8.4%에서 16.7%로, 남성 6.2%에서 14%로 2배 이상 늘었다.

그중 지난해 서울시에서 거주 중인 1인 가구는 약 139만으로, 이들 중 여성 1인 가구는 약 74만 가구(53.2%), 남성 1인 가구는 약 65만 가구(46.8%)로 여성 1인 가구 비율이 높았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하 코로나19)로 인해 서울 남녀 모두 휴식을 즐기는 모습도 변화했다. 올해 “주로 혼자 여가 활동을 한다”고 답변한 서울에 사는 남녀는 여성 25.4%, 남성 26.6으로 지난 2019년 여성 18.2%, 남성 19.3% 대비 약 7.2%p 증가했다.

이에 발맞춰 지난해 스마트폰 사용량도 상승세를 보였다. 2020년 기준 스마트 기기 평일 하루 평균 활용 시간은 남녀 모두 2시간이었지만 지난해 스마트폰 사용량은 여성은 약 0.8시간, 남성은 0.6시간 정도 상승했다.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진 것으로 밝혀진 가운데 성별에 상관없이 3명 중 1명(여성 37.9%, 남성 32.2%)은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건강문제를 경험했다고 답변했다. 여성의 24.6%, 남성의 26.5%가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해 주변 사람과 다툼이 발생했으며, 여성 30.4%, 남성 29.8%가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업무 혹은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 김선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이번 성인지 통계 결과는 서울 여성과 남성이 겪는 개인적, 사회적 상황의 차이를 통계로 제시해, 추후에 각 부문별 맞춤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를 통해 성별에 따른 불평등을 해소하고 시민들의 정책 체감도를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