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출신 금감원장 계기, 법조계도 비판
내각·대통령실 주요 보직 10% 이상 차지
野, “검사들에게 자리 나눠 준다”며 비판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검찰 출신’ 인사(人事)가 거침이 없다. 윤 대통령의 검찰 출신 ‘릴레이 인사’는 새정부 초대 금융감독원장 인선까지 이어졌다.

이복현 신임 금감원장은 전 서울북부지검 부장검사 출신으로, 검찰 내 ‘윤석열 사단’으로 꼽혔던 인물이다. 금감원은 설립 이래 처음 검찰 출신 수장을 맞는다.

한동훈 법무장관 인선에서 시작된 새정부의 검찰 출신 인사는 지금까지 내각(차관급 이상)과 대통령실(비서관급 이상)을 포함, 15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윤 대통령의 ‘마이웨이 인사’가 계속되자 더불어민주당은 “검사들에게 자리 나눠주는 인사”라며 ‘지인 찬스’, ‘검찰공화국 작업’이라고 맹폭했다.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7일 “윤 대통령 취임과 함께 문자 그대로 검찰공화국이 돼 가고 있다. 검찰 출신 임명 직책이 헤아릴 수조차 없다”며 “대통령실은 그야말로 검찰 출신 일색”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행정부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국가보훈처장, 법제처장, 국정원 기획조정실장, 국무총리 비서실장에 죄다 검찰 출신이 전진 배치됐다”고 직격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이 같은 야당의 지적에 “과거에는 민변 출신들이 도배를 하지 않았느냐”고 반박하며 “선진국인 미국 같은 나라를 보면 법조인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정관계에 폭넓게 진출하고 있다. 그게 법치국가”라고 응수했다.

윤 대통령은 8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과거에는 민변 출신들이 아주 뭐 도배를 하지 않았느냐”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이복현 신임 원장은 경제학과 회계학을 전공한 사람으로 오랜 세월 금융수사 활동 과정에서 금감원과 협업 경험이 많”며 “금융 감독·규제나 시장 조사에 대한 전문가이기 때문에, 적임자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또 “금감원이나 공정거래위원회 같은 경우는 규제·감독기관이고, 적법절차와 법적 기준을 갖고 예측 가능하게 일해야 하기 때문에 법을 다룬 사람들이 가서 역량을 발휘하기에 아주 적절한 자리라고 늘 생각해왔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공정거래위원장 하마평에 오른 검찰 출신 강수진 교수가 후보군에서 제외됐느냐는 질문에도 “전혀 아니다”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