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한국 첫 달탐사선 다누리, 전이궤도 성공적 진입”
12월 말까지 달 임무궤도 진입…내년 1년간 본격 임무 수행

미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40번 발사대에서 대한민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를 탑재한 스페이스 X의 팰컨-9 발사체가 발사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br>
미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40번 발사대에서 대한민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를 탑재한 스페이스 X의 팰컨-9 발사체가 발사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김지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달 궤도선 ‘다누리’가 5일 오전 8시 8분 48초(현지기준 4일 오후 7시 8분 48초)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으며, 이날 오후 2시 현재 달 전이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다누리는 오전 8시 48분 경 고도 약 703km 지점에서 스페이스X사의 팰콘9 발사체로부터 분리됐으며, 발사 약 1시간 32분 후인 9시 40분경에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항우연 내에 있는 다누리 관제실에서 스페이스X사로부터 받은 발사체 분리정보(분리 속력 및 분리 방향 등)를 분석했으며, 그 결과 다누리가 발사체로부터 정상적으로 분리돼 목표한 궤도에 진입한 것을 확인했다.

또한 수신된 위성정보 분석 결과, 다누리의 태양전지판이 전개돼 전력생산을 시작했고, 탑재컴퓨터를 포함한 장치들 간 통신이 원활히 이뤄지고 있으며, 각 장치의 온도도 표준범위 내에 위치하는 등 다누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향후 다누리는 연료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태양과 지구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을 향해 이동하다가 오는 9월 2일경 추력기를 작동해 방향을 조정할 계획이다.

다누리는 약 4.5개월의 항행 기간을 거쳐 올 12월 중순 달에 도착한 뒤 12월 말까지 달 임무궤도에 진입하게 된다. 이후 내년 1월부터 달 상공 100km의 원궤도를 돌며 1년여 간 ▲달 착륙 후보지 탐색 ▲달 과학연구(표면광물 분석, 자기장·방사선 관측 등) ▲우주인터넷 기술 검증 등 본격적인 임무를 수행한다.

다누리는 국가우주개발중장기계획에 따라 지난 2016년부터 개발한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이다.

다누리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는 심우주 항행에 필요한 탄도형 달 전이방식(BLT)의 궤도운영능력을 확보하고 대용량 고추력 추진시스템을 국산화했다. 아울러 심우주 통신에 필수적인 직경 35m의 대형 심우주 통신용 안테나도 구축함으로써, 향후 본격적인 우주탐사에 필요한 기반을 갖추게 됐다.

더불어 다누리에는 6개의 탑재체가 탑재되는데 미 항공우주청(NASA) 탑재체(섀도우캠)를 제외한 5개의 과학탑재체는 국내의 연구기관과 학계에서 직접 개발했다.

과기정통부 오태석 1차관은 “다누리는 우리나라가 처음 제작한 달 궤도선으로 누리호 개발과 더불어 우주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다누리 개발을 통해 확보한 기술과 다누리의 임무 운영을 통해 얻은 과학 데이터는 향후 우리나라의 달 과학 연구에도 크게 기여함은 물론 우주개발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제고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다누리호는 신자원강국, 우주경제시대를 앞당길 대한민국 선발대”라고 평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다누리 발사 성공 축하 서면 메시지를 통해 “대한민국 다누리호가 달 탐사를 위한 130여일의 여정에 성공적으로 돌입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광활한 우주에서 당당하게 날개를 펼친 다누리호가 전하는 꿈과 희망, 인내의 메시지를 생각하며 올 연말 우주로부터 다누리호가 보내줄 달의 표정과 BTS의 다이너마이트를 고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