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제4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 회의 결과 설명회에서 '주별 일평균 확진자 및 PCR 검사 추이'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br>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제4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 회의 결과 설명회에서 '주별 일평균 확진자 및 PCR 검사 추이'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김현정 기자】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는 입국 전 실시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검사를 폐지하고 입국 직후 검사로 대체해야 한다고 정부에 제언했다.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 정기석 위원장은 29일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설명회를 통해 ‘제4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 회의 결과’를 발표했다.

정 위원장은 “귀국 전 다른 나라에서 출발 48시간 전에 시행하는 유전자 증폭(PCR) 검사 또는 24시간 전 신속항원검사는 궁극적으로 폐지하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이어 “질병관리청에서 충분히 논의해 시기와 방법을 조정해야 하고, 현재 입국 24시간 안에 검사를 받게 돼 있는 입국 직후 검사는 당분간 꼭 계속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국내에 입국하는 모든 사람은 입국 전 48시간 이내의 유전자 증폭검사 또는 24시간 이내의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음성 확인서를 제출해야 하고, 입국 후 1일 이내에 유전자 증폭검사 결과를 추가로 받아야 한다.

이에 대해 정 위원장은 “선진국이든 개도국이든 차이 없이 검사를 매우 부실하게 하고 있고, 그런 부실한 검사를 굳이 해서 불편하게 만들 이유가 있겠나”며 “또 위양성인지도 모르는 우리 국민들이 외국에서 일주일, 열흘씩 방황하게 하는 게 옳은 일인 것인가에 대해서도 많은 의문이 제기돼왔다”고 말했다.

또한 정 위원장은 입국 전 해외에서 받는 검사의 비용 부담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최근 내국인 입국자가 하루 평균 2만명인데 검사에 평균 10만원을 쓴다고 보면 하루 20억원이라는 돈이 개인 주머니에서 나간다”고 지적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지난 25일 정례브리핑에서 “해외 유입의 확진자가 증가 추세에 있고 국내외 상황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입국 전 검사를 유지하고 있다”며 “방역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입국 전 검사를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 전문가와 관계 부처 협의를 통해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