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1차 기관 보고가 진행된 가운데, 유가족들은 국회를 찾아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 등 재난관리 컨트롤타워에 대한 성역 없는 국정조사를 촉구했다.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이하 협의회)와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산하 진상규명 시민참여위원회는 2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협의회 이종철 대표는 “행안부 이상민 장관부터 용산구청 통합관제센터의 공무원들까지 국정조사 특별위원들의 질문에 하나같이 ‘알고 있는 것이 하나 없다’라는 태도를 보여 유가족들은 가슴 찢어지는 아픔을 또 다시 느껴야만 했다”고 말했다.
이어 “심지어 국정조사에서 이 장관은 유가족을 못 본 체 지나가 버렸다”며 “이는 유가족을 멸시하거나 등한시한다는 태도로밖에 보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23일 진행된 국정조사에서 행안부의 최소한의 방역 인파 관리 등 사전 대비가 미흡했다는 지적에 대해 이 장관은 “그날 이태원에 그런 게 있는지도 몰랐다”며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태도를 보여 빈축을 샀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가 뒤늦게 구성돼 현장 대응에 차질이 있었다는 지적에도 그는 “참사 당일 중대본을 꾸리는 것은 촌각을 다투는 문제가 아니었다”고 대답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상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재난 및 안전관리 업무를 총괄·조정하는 행안부 장관으로서 부적절한 발언이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후에도 이 장관은 국장조사에 참석한 유가족들에게 별다른 말을 건네지 않고 자리를 뜨려 해 유족들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
또한 다음 주 예정된 청문회의 증인채택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것에 대해 협의회는 “일주일 내 3회의 청문회를 진행할 예정인데도 현재의 진행 상태를 보면 과연 청문회가 내실 있게 진상규명에 도움이 될지 의문이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유가족들의 현재 상황과 마음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 또다시 상처를 받게 될지 우려된다”며 “하루빨리 증인, 참고인 채택에 대한 협의가 이뤄져 정상적인 청문회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협의회는 국정조사가 파행하지 않도록 각 기관은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기관 보고에서 성의 있게 답변해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이 장관은 이날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 출석해 인파사고를 재난안전법에 사회재난유형으로 추가하고, 관련 매뉴얼과 국민행동요령을 정비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이태원 참사’를 통해 다중밀집인파사고 관련 여러 취약점이 파악됐다”며 “그동안 다중밀집인파사고는 관리 사각지대에 있었고, 위험신호인지·사고초기보고·전파체계 작동이 미흡했으며 현장 중심의 유기적 대응도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이 장관은 “앞으로 위험한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현장인파 관리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신속한 보고와 전파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