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ESG 이슈에 포괄적 대응 가능
【투데이신문 임혜현 기자】신용보증기금이 중소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확대를 돕는 전용 평가시스템을 만들었다. 신보는 중소기업의 ESG 경영문화 확산과 ESG 금융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중소기업 특화 ESG 평가시스템’을 자체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최근 탄소 중립 규제가 강화되고 기업 ESG 공시의무와 글로벌 공급망 ESG 관리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다만, ESG 경영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인식과 체계적인 준비는 미흡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보의 특화된 ESG 평가시스템은 이 같은 상황에서 중소기업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번에 개발된 ‘중소기업 특화 ESG 평가시스템’은 정부 정책 동향과 기후리스크, 글로벌 공급망 등 다양한 ESG 이슈에 포괄적으로 대응하는 게 가능하다. 이 시스템은 비재무영역의 현재 수준과 개선 노력까지 정교한 측정이 가능하다. 규모와 업종, 업력 등 기업 특성이 다른 모든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까지도 일괄 적용 가능하다는 것도 특징이다.
아울러 해당 시스템은 대외 신뢰성 면에서도 강점이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K-ESG 가이드라인’과 탄소회계금융협회(PCAF)의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계수를 활용한 것.
평가항목은 ▲친환경 추진체계 ▲기후변화 ▲자원이용 ▲ 인적자원 ▲사회적 관계 ▲안전 및 보안 ▲윤리경영 ▲ 통제구조 등 12개 주제, 32개 지표로 구성됐다. 평가등급은 분석 결과에 따라 ESG 영역별 등급과 7등급 체계의 종합등급으로 산출된다.
신보 관계자는 “신보가 개발한 중소기업 특화 ESG 평가시스템이 중소기업의 ESG 인식개선과 체계적인 준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신보는 이를 활용해 ESG 역량 우수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신보는 ESG경영 확산을 위해 2021년 2월 ‘ESG추진센터’를 출범하고, ‘중소기업 CEO를 위한 ESG 가이드북’을 발간했으며, 지난해에는 ‘ESG 경영 역량평가 보증’과 ‘중소기업 전용 ESG 컨설팅’을 도입하는 등 중소기업의 ESG경영을 적극 지원해 왔다.
주요기획: [‘지급거절·모르는 척’ 1등 삼성생명, 오너 지배구조 유지 쓰였나], [소비자 부담·규제패싱 들러리? 현대카드 애플페이, 외화내빈 우려]
좌우명: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오늘의 기록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