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가격 상승 등 영향으로 제조업 타격

[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투데이신문 박중선 기자】 지난해 매출은 늘고 영업이익은 줄어든 이른바 ‘호황형 적자’ 대기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에 따르면 금융·공기업을 제외한 국내 매출 100대 기업(지난해 실적 공시한 80곳)의 총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2186조9014억원, 164조6786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년 대비 20.9%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오히려 2.5% 감소했다.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도 전년 대비 1.8%포인트 감소한 7.5%를 기록했다. 또한 이들 기업 중 두 자릿수(10% 이상)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기업은 총 11곳으로 조사돼 지난해(23곳)에 비해 절반이나 줄었다.

영업이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 기업은 HMM으로 50%대를 넘겼고 이어 LG(27%), KT&G(21.6%), 대한항공(20.1%), GS(17.4%) 등의 순이었다.

매출 증가율은 HD현대가 114.6%로 가장 높았고 E1은 1년 사이 영업이익이 56억원에서 2787억원으로 무려 4899.4% 급증해 최대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아모레퍼시픽그룹은 매출이 전년 대비 15.6% 줄어 가장 큰 감소율을 나타냈고 LCD패널가격 하락 영향으로 LG디스플레이의 영업이익이 193.5% 급감했다.

업종별 분석 결과 전체 6개 업종에서 모두 전년 대비 매출이 증가했으나 제조업을 비롯해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 건설업 등 3개 업종은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이 모두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제조업이 13%의 큰 감소율을 보인데 이어 영업이익률도 2.9%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비용 증가 등에 기인한다고 전경련은 분석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