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대 무역 적자 영향...상품수지 4개월 연속 적자

컨테이너 선적 중인 부산항 전경. [사진제공=뉴시스] 
컨테이너 선적 중인 부산항 전경.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임혜현 기자】올해 1월 경상수지가 관련 통계 작성 이래(1980년) 가장 큰 적자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23년 1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올해 1월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적자 규모는 45억2000만달러에 달한다. 

한은 경제통계국 관계자는 “올 1월 무역적자가 역대 최대를 기록한데다, 해외여행 재개 등으로 출국자 수가 크게 늘면서 여행수지도 적자가 커졌다”고 해석했다.

특히 경상수지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가 4개월 연속 적자다. 상품수지는 1년 전과 비교해 90억달러 줄었으며, 적자폭도 전달(4억8000만달러)보다 15배 이상 커졌다.

무역수지 적자폭이 확대된 영향이 상품수지와 경상수지에까지 연쇄 파장을 일으키는 모습이다. 지난달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48억9000만달러 적자로, 1966년 통계 작성 후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반도체, 철강제품 등의 수출이 감소한 탓이 크다. 그러면서도 수입은 소비재 수요로 증가한 바 있다.

임금·배당·이자 등의 유출입을 나타내는 본원소득수지는 63억8000만달러 흑자다. 

1월 서비스수지는 32억7000만달러 적자로 나타나 3개월 연속 적자를 냈다. 

운송수지는 1억2000만달러 흑자로, 30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가고 있지만 흑자폭은 감소하는 추세다. 여행수지 적자 규모는 전년 동월 대비 적자폭이 9억4000만 달러나 확대됐다.

자본 유출입을 반영하는 금융계정 순자산은 6억4000만달러 줄었다.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는 36억9000만달러 늘었고,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54억달러 증가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