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365 코파일럿 이미지 [이미지 제공=마이크로소프트]
MS 365 코파일럿 이미지 [이미지 제공=마이크로소프트]

【투데이신문 변동휘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자사의 업무 관련 서비스에 생성 AI(인공지능)를 적극 도입하고 있다. 최근 화제를 모으고 있는 챗GPT의 개발사 오픈AI의 주요 투자자로, AI 기술을 활용해 비즈니스 경험 혁신을 촉진하는 모습이다. 

17일 MS는 LLM(대형 언어모델) 기반의 처리 및 조정 엔진 ‘MS 365 코파일럿(이하 코파일럿)’을 공개하면서, 이를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 팀즈, 파워플랫폼 등 자사의 모든 생산성 앱에 내장하겠다고 밝혔다. 

코파일럿은 당면 작업에 집중하고 후순위 작업에 덜 집중하도록 하는 등 사용자의 작업 흐름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워드에서는 코파일럿이 글을 작성·편집·요약·창작하며, 사용자는 코파일럿이 초안을 수정 및 재작성하도록 하는 등 제어권을 갖고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파워포인트에서는 간단한 명령만으로 아이디어를 디자인된 프레젠테이션으로 전환하며, 워드 등 서면 문서를 제공하면 스피커 노트와 소스가 완비된 파워포인트 덱으로도 변환해준다. 엑셀에서는 수식 및 데이터세트에 대해 자연어로 질문할 수 있으며, 코파일럿은 상관 관계를 밝히고, 가상 시나리오를 제안하며, 질문에 기반한 새로운 수식을 제안한다.

새로운 기능인 비즈니스챗에도 적용된다. 사용자가 “제품 전략을 어떻게 업데이트했는지 팀에 알려줘”와 같은 자연어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비즈니스챗은 오전 회의, 이메일, 채팅 히스토리 등 사용자의 앱의 모든 데이터를 기반으로 업데이트 상황을 생성한다.

앞서 지난 10일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 오픈AI 서비스에 챗GPT 프리뷰를 추가했다. 개발자들은 애저 상의 챗GPT를 활용, AI 기반 경험을 손쉽게 사용자화하고 앱에 적용할 수 있다. 기존 봇 개선, 콜센터 대화 요약, 개인 맞춤형 제안을 담은 신규 광고 카피 생성, 자동 클레임 처리 등 다양한 상황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실제로 업무용 소프트웨어는 생성 AI 주도권 경쟁이 가장 치열하게 전개되는 시장으로 꼽힌다. MS뿐만 아니라 구글도 지메일과 구글 독스 등에 생성 AI를 활용한 각종 기능을 추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MS의 경우 챗GPT의 개발사인 오픈AI의 주요 투자사라는 점을 활용, 경쟁사들보다 한 발 앞서나가려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