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대상 중위소득 60% 이하까지 확대
가족돌봄아동 체크리스트로 발굴 지원

서울시청 전경. [사진제공=뉴시스]
서울시청 전경.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서울시는 12일 어려운 상황에 놓인 결식우려아동 급식 지원을 확대하고 가족돌봄 아동에 대한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시는 중위소득 52% 이하인 결식우려아동 지원대상을 차차상위 계층인 중위소득 60% 이하까지 확대한다고 전했다. 이는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에 해당되진 않지만 결식 우려가 있는 아동을 적극 지원하기 위한 취지다.

이와 관련한 ‘급식카드’ 디자인도 3년 만에 개편된다. 시중 체크카드 디자인 중 아동이 선호하는 디자인으로 변경해 급식카드를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편의점 온라인 결제도 확대한다. 현재 GS편의점 앱(우리동네GS)에서만 급식카드 이용이 가능하지만, 7월부터는 CU편의점 앱(포켓CU)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또 자치구별로 ‘어머니 모니터링단’을 운영해 급식 유형 중 배달 도시락에 대한 품질 관리를 실시한다. 도시락 업체를 방문해 식재료, 위생 여부 등을 점검하고 피드백하는 체계를 만들 예정이다.

가족돌봄아동 지원에도 나선다. 가족돌봄아동은 소득 없이 가족을 부양하며 학업도 병행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아동을 말한다. 현재 가족돌봄아동에 대한 제도적 정의와 관련 법률은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보건복지부 등에서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만 13세 미만 아동은 제외돼있다.

시는 가족돌봄아동 지원에 대한 사각지대를 메우기 위해 체크리스트를 통해 아동을 발굴하고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자치구, 교육청, 지역아동센터 등 475개 유관기관과 연계해 가족돌봄아동을 찾고 이들을 대상으로 취약가정 아동 맞춤 지원프로그램인 ‘드림스타트’와 연계해 통합서비스를 제공한다.

드림스타트는 기존에는 취약계층 아동만을 대상으로 했지만, 앞으로는 중위소득 100% 이하 원가정·가정위탁 가족돌봄아동까지 대상을 확대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결식우려아동·가족돌봄아동에 대한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이번 정책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어려운 아동들을 위한 촘촘한 맞춤형 서비스를 지속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