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범 등 방식 대담하게 진화...안일한 통제망 비웃어 충격
문제 드러난 뒤에도 느슨한 대응 태도 유지해 일 키우기도
통제 방식 강화하고 실패 책임 임직원도 엄정 조치 목소리 높아
【투데이신문 임혜현 기자】근 1년 동안 금융사 직원들이 저지른 금융사고 금액이 2000여억원에 달한 가운데, 내부통제 강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은행 직원이 700억원대의 인수합병(M&A) 자금을 횡령했다 적발됐고 최근 BNK경남은행 직원이 1000억원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을 횡령하기도 했다. KB국민은행 직원들은 내부 미공개 정보로 주식거래에 나서 127억원의 부당이득을 올렸다.
공범을 동원하는 등 나날이 정교해지는 수법과 함께, 느슨한 내부통제가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경남은행의 경우, 당초 500억원대로 알려진 횡령액수가 1000억원대로 확대됐다.
주범인 경남은행 부장 A씨 외에도 공모한 증권회사 직원 B씨가 금융권 사정에 밝은 점을 악용, 문제를 키우는 데 일조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B씨는 2016년 8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부동산 시행사 직원을 사칭해 출금전표를 임의 작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횡령을 도왔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경남은행에 대한 검사에서 PF 문제를 지적한 적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감사 적발 등 문제를 더 빨리 밝혀낼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금감원은 지난 4월 말에 경영유의 사항 16건과 개선 사항 30건을 경남은행에 통보한 바 있다.
롯데카드의 경우도 프로모션을 명목으로 한 배임행위가 일어난 배경에 내부통제가 제대로 가동되지 않거나 느슨한 대응태도가 있다.
카드사 마케팅팀 팀장 C씨와 팀원 D씨는 협력업체 대표와 공모해 해당 업체를 카드상품 프로모션 협력업체로 선정했다. 프로모션 실적 확인수단 없이 카드발급 회원당 연비용(1인당 1만6000원)을 정액 선지급하는 방식으로 계약을 맺어 사실상 제대로 된 프로모션 없이 비용이 흘러나가게 한 뒤 이익을 나눠 가졌다.
카드 제휴서비스는 카드사 영업부서가 직접 운영 또는 통제하는 것이 일반적인데도 사고자가 제휴서비스를 외부업체에 일괄하여 위탁하는 등 내부통제가 이뤄지지 않았다.
금감원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계약 내용이 문제가 있다는 것을 사후에 인지했음에도 별도 조치를 하지 않아 사고액이 커졌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자체 감사를 진행해 관련 사실을 당국에 보고하고 보다 정확히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사를 의뢰했다”며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남은행 관계자도 “공범까지 구속되면 수사에 속도가 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현재 수사와 당국 검사가 진행 중이라 적극 임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주범은 물론 주변인물에 이르기까지 채권보전절차를 적극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 회사들은 유사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통제 전반을 재점검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했으며 충실히 이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은행 뿐만 아니라 비은행권까지 문제가 퍼진 상황에서 경각심을 울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순환보직과 같은 강도 높은 내부통제 방안이 마련, 시행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부통제에 실패한 것이 드러난 경우 관련 임직원을 엄중 조치하는 등 일벌백계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지급거절·모르는 척’ 1등 삼성생명, 오너 지배구조 유지 쓰였나], [소비자 부담·규제패싱 들러리? 현대카드 애플페이, 외화내빈 우려]
좌우명: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오늘의 기록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