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 집회로 총 17개교 재량휴업 결정
교육당국 “학습권 침해없이 추모해야”
강경 대응 기조에 현장서 혼란 이어져
일부 교사 단체서 단체행동 강행 예고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에서 사망한 교사의 49재 추모일에 17개 학교가 재량휴업을 결정한 가운데, 교육부는 집회가 새로운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며 공식 철회를 요청했다.
이 가운데 일부 교사들이 국회 앞 집회를 재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양측의 강대강 대치가 우려되고 있다.
30일 정부 발표를 종합하면 교육부는 전날 보도참고자료를 내고 전국 시도교육청을 통해 다음 달 4일 임시휴업하는 학교가 총 17개교라고 발표했다.
교육부는 “500개교 이상이 임시휴업을 결정했다는 일부 웹사이트의 주장은 사실이 아님을 밝힌다”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확산되고 있는 교원의 집단행동이 새로운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인식을 함께 함에 따라, 시도교육청에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추모하는 방향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에 많은 시도교육청들은 일과 후에 추모의 장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밝혔고, 이견이 있는 교육청 측과 협의를 지속할 것”이라며 “임시휴업을 결정한 학교에 철회를 공식적으로 요청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임시휴업을 결정한 학교는 모두 초등학교로, 전국 초등학교 6285개교 가운데 0.3%에 해당하는 규모다.
앞서 일부 교사들은 지난달부터 초등교사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서이초 교사의 49재를 ‘공교육 멈춤의 날’로 규정했다. 이들은 이날 연가·병가를 내거나 학교장 권한인 학교 재량휴업을 하는 방식으로 단체 행동을 진행하자는 뜻을 모아온 바 있다.
하지만 교육부가 참여 교사와 이를 허용한 학교에 대해 법에 따라 엄중하게 대응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표명하면서 교육 현장은 혼란을 겪었다.
이에 더해 교육부는 지난 25일 전국 시도교육청에 공문을 보내 매일 오후 3시까지 9월 4일 재량휴업 실시 초·중·고교 수와 명단을 제출해 줄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정부의 강경 방침에 기존 집회 운영팀은 지난 27일 집행부를 해산하고 집회 추진을 철회했다. 전국 학교들은 이미 재량휴업을 결정했음에도 번복하거나 휴업 여부 결정을 위한 학부모 의견수렴을 중단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였다.
이처럼 9.4 집회가 취소되는 듯했으나, 일부 교사들이 서이초 사망 교사의 49재인 내달 4일 국회 앞 집회를 재추진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교육부와 교사들의 갈등이 새로운 국면을 마주하게 됐다.
자신들을 ‘전국교사일동’이라고 소개한 집회 새 운영진은 지난 29일 배포한 자료를 통해 다음 달 4일 국회 앞 단체행동을 강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기존 운영팀이 집회를 철회했음에도 교육부는 9.4 공교육 멈춤에 대한 겁박을 계속하고 있으며, 집회가 취소됐다는 이유로 많은 학교에서 9.4 재량휴업일 지정을 철회하고 있다”며 “오히려 9.4 공교육 멈춤에 피해가 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음 달 4일 오전 서이초에서 개별 추모활동을, 오후 4시 30분~6시 국회 앞에서 서이초 교사 49재 추모집회를 가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교육부는 집회 재추진과 관련해 추가 입장을 내지는 않았지만 병가·연가를 통한 우회파업 또는 집회등 집단행동에 나설 경우 강경 대응하겠다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다음 달 4일 집회가 진행될 시 교육부와 교사들의 갈등은 보다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