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앞으로 인구감소지역에 생기는 문화·관광·체육시설과 근로자에 대한 지원이 강화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4일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시행령’ 일부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으로 인해 문화·관광·체육시설을 인구감소지역으로 설치 및 이전할 시 함께 이주하는 근로자를 지원하고 정확한 생활인구를 산정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갖춰졌다.
시행령에 따르면 우선 정부는 인구감소지역으로 인구유입을 위해 문화·관광·체육시설 설치 및 이전에 따라 함께 이주하는 근로자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했다.
현행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서도 인구감소지역에 문화·관광·체육시설 설치 및 이전 시 비용 일부를 지원할 수 있으나, 이주 종사자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자체의 건의에 따라 인구감소지역 특례를 추가했다.
이에 더해 생활인구를 활성화하고 정확한 산정을 위해 개인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도 생겼다.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보다 정확하게 생활인구의 성별·연령별·소비패턴 등을 분석할 수 있어 맞춤형 정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행안부는 내다봤다.
앞서 지난해 행안부는 강원 철원, 충북 단양, 충남 보령, 전북 고창, 전남 영암, 경북 영천, 경남 거창 등 인구감소지역 7개 지역에 대해 생활인구를 시범 산정한 바 있다. 올해부터는 89개 인구감소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생활인구를 산정할 계획이다.
행안부 김민재 차관보는 “이번 시행령 개정을 통해 인구감소지역으로 이전하는 문화·관광·체육시설 설치 지원 및 이주하는 근로자 정착 지원이 가능해짐에 따라 인구감소지역으로 인구유입이 증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정확한 생활인구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분야의 지원 시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