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의과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비수도권 수험생 10명 중 7명가량이 지역 소재 의대 졸업 후 지역에서 의사 활동을 희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수도권 수험생 중 지역 의대 졸업 후 지역에서 의사 활동을 원하는 비율은 7%에 불과했다.
종로학원은 12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전국 권역별 의대 수험생 온라인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지난 7월 31일부터 8일까지 의대 준비 수험생 1715명 대상으로 진행됐다.
비수도권 학생의 의대 선호도를 살펴보면 지역 소재 의대 지역인재전형을 선호하는 수험생은 63.4%, 수도권 의대를 선호하는 비율은 34.4%로 조사됐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학생들도 지역 의대 수시모집에 지원할 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70.5%였으며 지원 의사가 없다는 응답은 29.5%로 나타났다.
하지만 졸업 후 근무하고 싶은 지역에 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비수도권 학생들은 지역 의대 졸업 후 앞으로 의사 활동을 하길 희망하는 지역으로 68.3%가 지방권을 꼽았다. 그 외 28.8%는 서울권, 2.9%는 경인권에서 일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와 다르게 서울·경인권 학생들은 지역 의대를 졸업하더라도 63.8%가 서울권, 29.1%가 경인권에서 일하기를 희망했다. 지방권을 선호하는 수험생은 7.1%에 그쳤다.
권역별 의대 선호도는 서울·경인권 학생의 경우 서울대(44.9%), 연세대(18.2%), 성균관대(7.4%) 순이었다. 대구·경북권에서는 경북대(42.9%), 부산·울산·경남권에서는 부산대(34.8%), 호남권에서는 전남대(37.0%)로 가장 높아 거점국립대에 대한 선호도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충청권과 강원권, 제주권은 서울대 선호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의대 모집정원 확대로 인해 앞으로 교육의 질이 지금보다 하락할 것이라고 생각한 수험생은 응답자의 59.6%였다.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생각한 비율은 35.4%로 집계됐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의대 모집정원이 10% 이상 늘어난 대학에 대해 강화된 평가를 진행한다는 것과 관련 대학과 수험생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는 의견은 53.0%로 절반이 넘었다. 영향력 없다고 답한 수험생의 비율은 23.5%였다.
다만 이 같은 불이익으로 의대 지원 의사에 변화가 생기지 않았다는 응답이 98.4%로 집계됐다.
종로학원은 “지방권 학생들이 지방권 지역인재 전형 선호도가 높고, 대학별 선호도는 지방권 학생들도 대부분 지역에서 수도권 의대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수도권, 지방권 중복 합격에 따른 이동현상은 앞으로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현재 의대 준비 수험생들은 의대 진학 후 의대평가 결과에 따른 불이익 발생 예상에 대해 우려는 하지만 지원에는 영향을 사실상 주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