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2025학년도 수학능력검정시험을 앞두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의료용 마약류 불법유통이 급증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4일부터 열흘간 실시한 ‘수험생 관련 식의약품 부당광고 및 불법유통 특별점검’에서 마약류 총 669건이 적발됐다.
이는 식약처가 지난해 2024학년도 수능을 앞두고 실시한 마약류 집중점검(200건) 대비 3.3배 폭증한 수치다.
항목별로 보면 ADHD 치료제로 사용되는 ‘의료용 마약류’인 애더럴 486건, 콘서타 142건, 페니드 41건이 집계됐으며, 이들은 공통적으로 SNS, 블로그, 오픈마켓 등 온라인에서 주로 유통됐다.
시중에서 ‘공부 잘하는 약’, ‘집중 잘되는 약’이라는 명칭으로 불법유통되는 ADHD 치료제는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재흡수 억제제이자 중추신경 흥분제로 치료 대상의 각성 작용을 기대하고 사용한다.
그러나 ADHD 환자가 아닌 일반인이 해당 약물을 복용할 경우 지나친 흥분 상태에 이르거나 해당 약물 등에 의존도가 높아질 수 있어 반드시 전문의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특히 이번 집중점검 적발 건수의 72.7%를 차지한 애더럴은 미국식품의약국 승인은 받았으나 국내에선 금지된 불법 약물로, 식약처에서는 해당 애더럴의 반입 및 유통경로까지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 의원은 “암페타민 계열 ADHD 치료제의 고용량 복용 시 정신질환 발병 위험이 5.3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모든 약물 오남용이 위험하지만 그중에서도 의료용 마약류에 해당하는 ADHD 치료제를 오남용하는 것은 더욱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식약처에서 적발한 마약류 관련 불법유통 정보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차단 절차를 밟는데, 접수 시점부터 심의 의결까지 평균 99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불법 마약류 유통을 즉각 차단하기 위해서는 마약류 감시 체계를 고도화 해 적발부터 차단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패스트트랙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짚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식물해방일지, 벼랑 끝 경찰들, 벼랑 끝 소방관
좌우명: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해 쓰겠습니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