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가 발생한 지 1년 4개월이 지난 가운데, 참사 유족과 생존자 등은 여전히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와 우울 증상 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20일 충북교통방송(TBN)과 충북대학교 심리학과가 발표한 ‘7·15 오송 참사 피해자 추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오송 지하차도 참사 이후 유족·생존자의 절반이 우울 증상을, 10명 중 7명은 외상후스트레스(PTSD) 증세를 보이고 있었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지난해 7월 15일 집중호우로 청주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인근 미호강 제방이 터지면서 지하차도를 지나던 시내버스 등 차량 17대가 하천수에 침수되고 14명이 숨진 사고다.
조사는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8월까지 4차례에 걸쳐 유족과 생존자, 생존자 가족 등 30~3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기간은 지난해 11월(39명), 지난 2월(34명), 지난 5월(35명), 지난 8월(30명)이었다. 조사 항목은 ▲수면 ▲불안 ▲우울 ▲외상후스트레스 장애 ▲사별 비애 상태 등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 가운데 절반은 우울 증상을 보이고 있었다. 지난해 11월 56.4%의 응답자들이 우울 증상을 보였는데, 조사 기간 동안 수치가 48.5%, 46%로 떨어졌다가 지난 8월 조사에서 57%로 높아졌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을 보이는 응답자도 지난해 11월 69.2%, 올해 8월 63.3%로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가까운 사람과 사별을 경험한 사람들이 겪는 심리적 부작용인 ‘사별 비애 증상’ 역시 응답자의 90% 이상이 겪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4차례의 조사 기간 동안 응답자들의 34~56.4%는 불안 증세를 보였으며 41.2~56.4%는 심한 수면 장애를 겪었다고 응답했다. 이 중 1~2명은 스스로 목숨을 끊을 시도를 했거나 계획해 봤다고 답했다.
참사 이후 고용이 불안정해지거나 수입이 줄었다고 응답한 이들도 30%를 웃돌았다. 응답자 가운데 31~42%는 실직하거나 휴직한 것으로 조사됐고 37~49%는 수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의 70%가 정부나 지자체, 민간단체로부터 심리 지원을 받았다고 답했지만 매우 만족한다는 비율은 7%에 그쳤다.
심리 지원을 거부하거나 중단한 생존자는 “상담이 부족하고 전문적이지 않으며 약으로만 치료하려 한다”, “상담 선생님이 전문적이지 않아 상처로 남았다”, “방문한 상담사는 사고를 전혀 모르고 있었다”, “접근성 문제” 등을 불만족 사유로 들었다.
유족은 “국가 기관의 관리적 전화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2~3회부터는 약물치료 외 다른 치료가 없다고 했다”, “자꾸 괜찮은 쪽으로 (답변을) 몰고 가고 형식적인 느낌”, “거리가 멀고 힘들다” 등을 심리 지원에 대한 불만족 사유로 꼽았다.
충북대학교 최해연 심리학과 교수는 “행정안전부가 적십자에 위탁해 운영하는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는 센터장을 적십자사 직원이 겸임해 전문성이 떨어지고 상근 인력은 센터당 2명이 채 되지 않는다”면서 “보건복지부의 트라우마센터도 전국 트라우마센터는 5곳뿐이다. 이 가운데 전임 정신건강 전문의가 있는 곳은 서울에 있는 국가트라우마센터 1곳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식물해방일지, 벼랑 끝 경찰들, 벼랑 끝 소방관
좌우명: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해 쓰겠습니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