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지난 3일 비상계엄 당시 국회 출동 임무를 맡았던 육군 특수전사령부 예하 707특수임무단 김현태(대령) 단장이 기자회견을 열고 “707 대원들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이용당한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김 단장은 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국방부 청사 인근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비상계엄 당시 상황을 증언했다.
앞서 그의 상급부대 간부인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이 SNS에서 당시 상황을 설명하긴 했지만, 실제 현장에서 계엄군을 지휘한 영관급 장교가 입장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원이 기밀에 해당하는 그는 스스로 얼굴과 이름을 공개하며 카메라 앞에 섰다. 김 단장은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해 제가 아는 모든 진실을 말씀드리고 싶었으나 기회가 없는 듯해 이 자리에 섰다”며 “지금까지 저에게 많은 문자와 전화로 인터뷰를 요청해 주신 기자분들께 응답하지 못한 것은 절대 책임을 회피하고자 해서가 아님을 말씀드린다”고 설명했다.
이어 “저는 무능하고 무책임한 지휘관이다. 부대원들을 사지로 몰았다. 전투에서 이런 무능한 명령을 했다면 전원 사망했을 것”이라며 “지금 대원들이 많이 아파하고 괴로워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김 단장은 707 부대원들이 모두 피해자라고 언급했다. 그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이용당한 가장 안타까운 피해자”라며 “부대원들은 죄가 없다. 죄가 있다면 무능한 지휘관의 지시를 따른 죄뿐이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 여러분, 꼭 부대원들을 용서해 달라”며 “707 부대원들이 행한 모든 잘못을 지휘관인 제가 모두 지고 가겠다”고 덧붙였다.
김 단장은 비상계엄 선포 당시 대원들의 국회 진입을 직접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그가 지시한 임무는 △헬기 출동 △정문 봉쇄 △당직자를 상대로 한 몸싸움 △창문을 깨고 내부 진입 등이다. 그러면서 “그는 당시 계엄에 대한 지식이 없었고 국회 활동이 보장돼야 한다는 것도 몰랐다”고 밝혔다.
당시 국회 지시 상황에 대해서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했다. 현장에서 무리라고 판단돼 보고했더니 ‘알겠다, 무리하지 말라’고 사령관이 말했다”며 “끌어낼 정치인 명단은 전달받지 않았다. (지시) 뉘앙스는 ‘(국회의원) 150명 넘으면 안 된다’, ‘막아라, 안 되면 끌어낼 수 있겠냐’는 것이었다”고 짚었다.
계엄이 사전에 준비된 정황이 있다는 취지 발언도 이어졌다. 김 단장은 “서울지역 동시다발 테러에 대한 얘기를 듣고 3일간 관련 훈련을 진행했다”며 “그 당시 훈련 준비 내용은 비살상무기를 사용한 무력진압작전이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단장은 “민주주의 법치주의 국가의 군인으로서 잘못에 대한 모든 책임을 다하고 스스로 죄를 물어 사랑하는 군을 떠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