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오후 조기퇴진 방식·시기 등 발표할 계획
【투데이신문 박고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조기 퇴진과 관련된 논의가 국민의힘 내에서 본격화됐다.
당은 2월 퇴진 후 4월 대선, 3월 퇴진 후 5월 대선 두 가지 시나리오를 검토하며 정국 안정화 방안을 마련 중이다.
이에 대한 최종 결정은 오는 14일 탄핵안 표결 전 확정될 예정이다. 하지만 당내 의견이 첨예하게 갈리고 있어 향후 논의가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국민의힘 정국 안정화 태스크포스(TF)는 10일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윤 대통령의 조기 퇴진과 대선 일정을 포함한 초안을 보고했다.
이양수 TF 위원장은 의총이 정회됐을 때 기자들과 만나 “의총 초반에 초안을 의원님들께 보고를 드렸다”고 전했다.
이 위원장은 “오늘 본회의에 올라올 법안들을 논의하느라 오후로 미뤘다”며 “오후에 다시 의총을 열어 TF안에 대해 논의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임기 단축 개헌에 대해선 “이번 대선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TF가 제시한 로드맵에 대해 당내 의견은 분분하다. 친윤계는 임기 단축 개헌과 2026년 지방선거·대선 동시 실시를 주장하며 TF의 제안을 반대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 같은 초안을 기반으로 당내 의견을 수렴한 뒤 탄핵안 표결 전까지 로드맵을 발표할 방침이다.
한편, TF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해제 이후 정국 수습책을 논의하며 법적 검토와 정국 안정 방안을 함께 검토했다.
과거 탄핵 사례를 참고했을 때 헌법재판소 심리가 진행될 경우 2~3개월 내 결론이 날 가능성이 높다.
국민의힘은 야당이 예고한 탄핵 투표가 열리는 14일 전까지 정국 안정화 로드맵의 초안을 최종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지만 당내 이견은 여전히 큰 걸림돌이다.다. TF의 초안이 당내 설득과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우리동네 정치인] , [위기의 공공기관], [기업 생존전략 ESG 경영]
좌우명: 忍耐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