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인근에서 직장인들이 출근하기 위해 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br>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인근에서 직장인들이 출근하기 위해 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일부 대기업이 설 연휴 이후인 오는 31일을 휴무로 지정해 최대 9일간 쉴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오는 27일 임시공휴일에도 쉬지 못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한 중소기업 40%가량은 설 상여금 지급 계획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중소기업 3곳 중 1곳은 설 연휴를 앞두고 자금난을 호소하는 등 기업별로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관측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0일 8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 자금 수요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그 결과, 설문에 참여한 60.6%가 설 임시공휴일에 휴무 계획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임시공휴일 실시 계획이 없는 중소기업의 99.2%는 설 연휴 외 다른 휴무 계획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설 상여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답한 중소기업은 48.9%로 집계됐다. 지급하지 않겠다는 중소기업은 30.4%, 아직 결정하진 못한 중소기업은 20.7%였다.

상여금 지급 수준은 정액 지급 시 1인당 평균 42만4000원으로, 기본급의 평균 50.5%였다. 지난해 정액 지급이 60만9000원, 정률 지급이 기본급의 60.3%로 각각 기록됐던 것에 비하면 크게 감소한 모습이다.

이는 자금 사정이 녹록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소기업 10곳 중 3곳은 지난해 설보다 올해 설에 자금 사정이 더 곤란하다고 답했다. ‘지난해와 다르지 않다’는 응답은 55.5%로 조사됐으며 ‘원활하다’는 응답은 11%에 그쳤다.

중소기업들은 올해 설 자금으로 평균 2억2940만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냈다. 필요자금 대비 부족자금은 평균 1920만원이었다.

이 같은 부족한 설 자금 확보 계획으로는 ‘납품대금 조기회수’가 49.4%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금융기관 차입’(30.1%) ‘결제연기’(20.5%) ‘사채조달’(4.8%) 순이었다. ‘대책 없음’이라는 응답도 15.7%로 집계됐다.

반면 일부 대기업은 설 연휴가 끝난 뒤인 오는 31일까지 휴무일로 정해 최대 9일간 쉴 수 있도록 조정했다.

현대차·기아 등 일부 대기업은 노사 단체협상에 따라 오는 31일 전 직원이 휴무를 받았다. 이는 직원들에게 충분한 휴식을 제공해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 9~15일 5인 이상 기업 60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설 휴무 실태조사’ 보고서를 살펴보면 대기업들 중 과반수인 78.8%가 상여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기업 직원들은 휴무와 함께 상여금까지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 규모에 따라 설 휴무 기간도 차이가 났다. 300인 이상 기업 42.2%는 ‘7일 이상 쉰다’고 응답한 반면, 300인 미만 기업에선 28.5%만이 ‘7일 이상 쉰다’고 밝혔다. ‘휴무일이 5일 이하’라고 답한 300인 미만 기업 비율도 26.2%로, 300인 이상 기업(15.6%) 대비 10%p 이상 높았다.

중소기업중앙회 추문갑 경제정책본부장은 “자금사정이 곤란하다고 응답한 중소기업의 비율이 원활하다고 응답한 중소기업의 3배에 달했다”며 “내수진작, 대출금리 인하 등 실질적으로 체감가능한 지원으로 자금 사정이 곤란한 중소기업의 짐을 덜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상당수 중소기업이 임시공휴일을 실시하지 못한다고 응답했으며 지난해 대비 설 상여금 지급 수준도 감소한 상황”이라며 “중소기업의 자금 사정 개선을 위한 금융 지원 정책은 기업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근로 여건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