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 시간) 메릴랜드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기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 시간) 메릴랜드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기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강현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대응책 마련에 나서는 모양새다. 업계는 트럼프 행정부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며 다각도의 대응 전략을 검토 중이다.

5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현지 시간) 공화당 연방하원 콘퍼런스 연설에서 관세 부과 대상 산업으로 반도체, 철강에 이어 ‘의약품’ 등을 지목했다. 그는 “세금이나 관세를 내지 않으려면 미국에 공장을 지어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어 31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는 “모든 형태의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등 의약품 관세 부과를 거듭 강조하고 있다.

현재 미국 시장에 진출한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는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에 따라 대부분 의약품을 무관세로 수출하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트럼프가 FTA를 뒤집긴 어려울 것이라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다만, 트럼프가 연일 추가 관세 대상으로 의약품 등을 언급하면서 실현 가능성도 고개를 들고 있다. 

최근 한국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으로 완제의약품을 수출하는 셀트리온, SK바이오팜, 유한양행, 녹십자, 대웅제약, 휴젤 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보툴리눔 톡신을 수출하는 대웅제약과 휴젤이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발 리스크가 덮쳐오면서 국내 업계에도 영향이 미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셀트리온의 경우 지난달 30일 주주서한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비해 단기, 중기, 장기적 대응 전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직후부터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면밀히 분석해 왔다”면서 “어떠한 형태로 정책이 시행되더라도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이미 구축해 둔 상태”라고 설명했다.

셀트리온은 단기적으로는 미국 내 충분한 재고를 확보했으며, 중기적으로는 원료의약품 중심의 수출 전략으로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생산기지 확보를 검토 중이다. 회사는 “현재 당사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충분한 제조 역량을 갖춘 현지 업체들과의 협력 방안을 이미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아직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인 정책안이 발표되지 않은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미국 내 약가 상승을 초래해 소비자와 의료 시스템에 부담을 줄 수 있어 실제 강행 가능성은 불확실하다는 분석이다.

한국투자증권 위해주 연구원은 “시장은 미국이 의약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지만, 이는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한 단기 변동에 불과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삼성증권 서근희 수석연구원은 트럼프의 정책이 주로 필수의약품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