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일반 기업에서 근무 중인 MZ세대 직장인이 기성 세대보다 정년 연장에 더 많이 찬성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들이 희망하는 적정 정년연장 연령은 65세였다.
한국행정연구원(이하 연구원)은 21일 ‘정년 연장에 대한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구성원의 세대별 인식 차이’ 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조사는 공공 부문 1012명과 민간 부문 1008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조사 결과, 정년 연장 찬반 여부를 묻는 질문에 56.54%가 ‘찬성’(매우 찬성+찬성하는 편)한다고 답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공공조직 구성원(54.5%)보다 민간조직 구성원(58.6%)이 정년연장에 대해 찬성하는 비율이 다소 높았다.
특히 세대별로 민간부문은 MZ세대(1981년생~)의 정년 연장 찬성 비율은 59.35%로 기성세대(57.70%)에 비해 찬성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공공부문은 반대로 기성세대(55.45%)가 정년연장에 찬성하는 비율이 MZ세대(52.6%)보다 2.9%p 높았다.
정년 연장에 찬성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60세에서 몇 세로 연장하는 것이 적절하냐고 묻자 모든 모든 집단에서 65세를 희망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조사됐다.
민간 부문은 65세를 희망하는 비율이 59.63%로 공공부문(70.87%)과 비교해 약 11.24%p 낮았다.
기성세대는 65세를 희망하는 비율이 63.17%로 MZ세대(67.46%) 대비 약 4.29%p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정년연장이 초고령사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에 대해 민간부분 MZ세대의 동의율(78.57%)이 높았다. 반면 청년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의견에 대해서는 공공부문 기성세대의 동의율(43.64%)이 가장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퇴직 후 연금수령까지의 소득공백기를 제도적으로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동의는 공공부문 MZ세대(82.94%)에서 가장 높았으며 민간 부문 기성세대(68.36%)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노후 준비에 대한 질문에 대해 공공부문 MZ세대와 공공부문 기성세대는 약 56%가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민간부문 기성세대는 47.6%로 민간부문 MZ세대(51.34%)에 비해서도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는 비율이 낮았다.
공공부문의 경우 직역연금 가입이 가장 주된 노후 준비 수단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민간부문의 경우 국민연금과 예적금을 통해 노후를 준비하는 경우가 공공부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원은 “정년연장에 대한 분야별·집단별 의견 차이는 노후 준비 여부, 노후준비 수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정년 연장은 연금, 임금체계, 청년세대 일자리문제 등 이슈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문제로서 광범위한 사회적 합의가 먼저 구축돼야만 갈등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노동시장과 사회보장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