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SI·IMEI·전화번호 유출 정황 확인
“피해자 전원에 무료 보험·보상 약속”
【투데이신문 최주원 기자】 KT가 소액결제 피해 사례를 추가적으로 확인했다. 다만 유심 인증키는 유출되지 않았다며 복제폰을 통한 2차 피해 가능성을 일축시켰다.
KT는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발생한 소액결제 피해 사건에 대한 추가 대응 현황을 발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KT 구재형 네트워크기술본부장, 김영걸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KT는 비정상적인 접속 패턴과 짧은 시간대에 몰린 소액결제 정황을 분석해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ID 4개를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당초 피해자 수는 278명에서 362명으로, 피해 금액은 1억7000만원에서 2억4000만원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특히 기존 상품권 외에도 교통카드 등 다른 유형의 결제 피해 사례도 새로 드러났다.
KT에 따르면 총 2만명이 해당 불법 기지국 신호를 수신했고, 이들을 통해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휴대전화 번호 등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발견됐다. 다만 KT는 고객 성명이나 생년월일, 유심 인증키는 유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복제폰 제작을 통한 피해 확산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고 선을 그었다.
구재형 본부장은 “불법 기지국 신호를 수신한 고객 전원을 개인정보 유출 대상으로 관리하고 있다”며 “유심 인증키는 유출되지 않아 복제폰 생성 가능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KT는 문제가 된 불법 기지국 ID에 대한 망 접속을 차단하고 해당 기기들의 신규 개통도 제한했다고 발표했다. 구 본부장은 “3개월간 미사용된 팸토셀 약 4만3000대를 모두 접속 중지시켰으며 2주 내 현장 점검을 통해 회수 또는 영구 차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KT는 이날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피해 정황을 추가로 신고했으며 피해 고객에게는 문자 메시지, 마이케이티 앱, 홈페이지 등을 통해 개별 안내 중이다. 또 무료 유심 교체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지원하고 있다.
김영걸 본부장은 “현재까지 피해 고객 362명 중 278명의 청구 조정을 완료했고 나머지 84명도 금일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라며 “일부 선결제된 신용카드는 즉시 환불하고 있다”고 말했다.
KT는 보안 강화 방안으로 전국 2000여 개 매장을 ‘안전안심 전문매장’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객들이 직접 보안 앱 점검, 악성 앱 탐지, 보이스피싱 대응, 소액결제 차단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피해 고객 전원에게 ‘KT 안전안심보험(가칭)’을 3년간 무료 제공하고 향후 휴대폰 관련 금융 사기 피해에 대한 보상도 제공한다.
안전안심보험의 보장 범위에 대해 김 본부장은 “현대해상, DB손보와 협의 중이며 휴대폰 기반 금융 피해 대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계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보장 내용은 협의 완료 후 공개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불법 기지국이 KT 망에 접속한 경위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구 본부장은 “KT 팸토셀에 대출력 앰프를 연결해 개조했거나 타사 장비에 KT 연동 정보를 탑재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용의자 검거가 이뤄진 만큼 실체가 곧 드러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키워드
주요기획: 4·10 총선 청년 공약 짚어보기, 新테크노크라시, 2025 게임 청사진
좌우명: Respect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