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음5G 주파수 한계 극복 목표

SK텔레콤이 15일 서울 남산 사옥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펀진, 코난테크놀로지, 콘텔라, 플랙토리와 통신 중계 드론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이 15일 서울 남산 사옥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펀진, 코난테크놀로지, 콘텔라, 플랙토리와 통신 중계 드론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투데이신문 최주원 기자】 SK텔레콤이 군사용 드론의 작전 반경 확대를 위해 통신 중계 드론 개발에 나선다.

SK텔레콤은 15일 서울 남산사옥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펀진, 코난테크놀로지, 콘텔라, 플랙토리 등 4개 기업과 통신 중계 드론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통신 중계 드론은 공격·정찰용 드론의 작전 반경을 넓히기 위해 통신 장애 지역에서 무선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다. 현재 군은 이음5G 주파수를 활용 중이나 고주파수 특성상 전파 도달 거리가 제한돼 개선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번 협력의 핵심은 상용망의 800MHz 등 저주파수 대역 활용이다. 저주파수는 고주파수 대비 전파 도달 거리가 길고 회절성이 우수해 장애물이 많은 도심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특히 복수의 중계 드론 간 핸드오버 기술을 적용해 한 대가 격추돼도 다른 드론으로 즉시 전환할 수 있어 작전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참여 기업들은 각자 전문 분야를 분담한다. SK텔레콤은 무선 회선과 핸드오버 기술, 실시간 영상 관제를 맡고, 펀진은 드론 무선 품질 측정과 인공지능(AI) 기술을, 코난테크놀로지는 엣지 전술 장비를, 콘텔라는 위성통신 기반 이동기지국을, 플랙토리는 이음5G 코어 및 통신장비를 담당한다.

SK텔레콤 김경덕 엔터프라이즈사업부장은 “각사의 독보적인 솔루션을 결합해 군 통신 중계 드론을 개발함으로써 작전 반경이 대폭 확대될 것”이라며 “상용망 기술의 군 적용을 통해 국방 역량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