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권거래소 앞에 월 스트리트 표지판이 걸려 있다. [사진=AP/뉴시스]
뉴욕 증권거래소 앞에 월 스트리트 표지판이 걸려 있다. [사진=AP/뉴시스]

【투데이신문 문영서 기자】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인공지능(AI) 거품론과 저조한 소비심리가 지수를 끌어내린 가운데 셧다운 해제 기대감이 낙폭 회복을 이끌었다. 

8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7일(현지시간)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4.80포인트(0.16%) 올라 4만6987.10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8.48포인트(0.13%) 상승한 6728.80, 나스닥종합지수는 49.46포인트(0.21%) 내린 2만3004.54에 장을 마쳤다.

다만 오후 들어 민주당 상원 척 슈머 원내 대표가 정부 셧다운 해제를 위한 타협안을 제시한 것이 매수 심리를 자극하며 주가 회복에 기여했다.

S&P500 종목들 가운데 상승 종목이 하락 종목보다 많았으나 대형 종목들의 약세가 지수를 끌어내렸다.

AI 및 반도체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장중 4.70%까지 낙폭이 벌어졌다. 엔비디아는 4.88%, 브로드컴은 5.15%까지 낙폭이 커지기도 했다. 애플 역시 1% 하락했다. 

사상 최장을 기록하는 미국 정부 셧다운 때문에 다른 경제 관련 데이터가 부족해지면서 이번 분기 기업들의 실적이 크게 주목됐다.

셧다운 영향에 고용 월간 데이터 역시 9, 10월 2개월 연속 발표되지 않았으나 노동시장은 이미 악화하기 시작한 상태다. 

소비심리 둔화 역시 주가지수 하방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11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50.3으로 집계됐다. 10월의 53.6에서 3.3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2022년 6월 50.0 이후 최저치다. 

시장에서는 여전히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12월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CME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금리를 내릴 것으로 전망하는 투자자들은 약 66.5%에 달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