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게임 부정적 인식 불식해야”
게임업계, R&D 세액공제 미흡 호소
【투데이신문 최주원 기자】 게임업계가 ‘지스타 2025’ 현장을 찾은 정치권의 세제 지원 확대와 규제 개선 약속에 기대감을 드러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14일 오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내 최대 게임 전시회 ‘지스타 2025’를 방문해 ‘K-게임 미래 전략 현장간담회’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조영기 한국게임산업협회장을 비롯한 게임업계 주요 관계자들은 산업 성장 동력과 규제 개선 과제, 글로벌 진출 전략 등 산업 현안을 논의했다.
정 대표는 간담회에 앞서 B2C관에 위치한 각 게임사 부스를 돌아보며 출품작 소개를 들었다. 관람 후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선 “2002년 자료를 보니 드라마와 영화 수출액의 4배를 게임산업이 벌어들이고 있었다”며 “너무 놀라운 통계였고 신세계였다”고 회상했다.
정 대표는 자신이 발의한 게임산업진흥법이 2006년 제정됐음을 언급하며 “지금은 한류의 63%를 게임산업이 담당하고 있다”며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국회에서 불식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21세기 효자산업으로서 게임산업은 애국자”라며 “국회의 도움 없이도 이만큼 발전해 준 게임업계에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e스포츠에 대한 현 정부와 이재명 대통령의 관심이 크다는 점을 강조하며 게임업계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동지적 연대를 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조영기 협회장은 정 대표에게 건의서를 전달했다. 이 자리에서 2023년부터 게임산업 성장세가 꺾이며 위기의식이 커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실제 글로벌 업체들이 R&D 세액공제, 제작비 세액공제 등 정부 차원의 다양한 지원을 받는 반면 우리 정부의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다.
정부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한 조 협회장은 “이 대통령이 제시한 K-콘텐츠 시장 300조원, 해외 수출 50조원 목표 달성의 선봉에 게임업계가 서겠다”고 다짐했다.
게임업계의 지원 요청에 정치권이 긍정적으로 화답하면서 업계의 기대감은 커지고 있다. 이번 ‘지스타 2025’가 산업 지원의 전환점이 될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4·10 총선 청년 공약 짚어보기, 新테크노크라시, 2025 게임 청사진
좌우명: Respect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