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명 전원 사망…한국동서발전 발주·HJ중공업 시공

지난 12일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 붕괴 사고 현장에서 소방당국과 관계자들이 매몰자 구조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 12일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 붕괴 사고 현장에서 소방당국과 관계자들이 매몰자 구조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신문 심희수 기자】울산 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붕괴 사고로 매몰된 작업자 7명이 전원 사망했다.

15일 울산소방본부에 따르면 마지막 실종자였던 김모(62)씨가 14일 오후 9시 57분께 붕괴된 5호기 속에서 시신으로 수습됐다. 사고 발생 8일 만이다. 사망판정은 수습 후 오후 10시 4분 내려졌다.

구조대는 중장비를 동원해 철거와 수색작업을 반복하던 중 이날 오후 8시 49분께 김씨를 발견했다. 김씨의 시신은 남구 한 병원으로 옮겨졌다.

앞서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5호기가 붕괴됐다. 구조물 규모는 높이 63m, 가로 25m, 세로 15.5m에 달했다.

당시 작업자들은 44년 된 노후 보일러타워 해체를 위해 취약화 작업 중이었다. 취약화란 구조물 해체 전 쉽게 무너질 수 있도록 곳곳에 기둥과 철골 등을 미리 잘라 놓는 작업이다.

구조물이 순식간에 붕괴되면서 현장에 있던 작업자 9명 중 2명은 빠져나왔지만, 나머지 7명은 모두 매몰됐다.

사고 이후 매몰자 2명은 곧바로 발견됐다. 이 중 1명인 김모(44)씨는 소방대원과 대화도 나눌 정도로 의식이 또렷했으나, 구조물에 팔이 끼어 미처 빠져나오지 못했다. 소방당국은 장애물을 뚫고 진통제를 투입하는 등 생존자 구조에 집중했다. 그러나 김씨는 구조 도중 심정지가 발생했고, 심폐소생술이 이뤄졌으나 발견 13시간 30여 분만에 사망했다.

소방당국은 김씨를 포함한 매몰자 수색·구조 작업을 이어갔고, 사고 이틀째인 7일에 2명, 9일에 1명의 시신을 수습했다. 11일엔 발파 작업을 통해 매몰자 시신 1구를 수습했다. 12일과 13일에도 각각 1구씩 수습했다. 이어 마지막 실종자를 사고 발생 8일 만에 발견해 구조를 완료했다.

소방청은 매몰자 전원을 수습함에 따라 사고 당일인 6일 오후 3시 13분 발령했던 국가소방동원령을 14일 오후 10시 17분 해체했다.

한편 이번 해체공사는 한국동서발전이 발주해 HJ중공업이 시공을 맡았다. 해체 작업에는 하청업체인 코리아카코(발파 전문업체)가 참여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