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국민의힘 박민영 미디어대변인이 최근 같은 당 김예지 의원(재선·비례대표)을 겨냥해 국회의원 비례대표 선거에서 “장애인을 너무 많이 할당해서 문제”라고 발언해 논란이 일고 있다. 박 대변인이 두 차례 해명문을 올려 “장애인이라고 다른 집단에 비해 과대표 돼선 안 된다는 뜻”이라고 반박했지만 논란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는 모양새다.
박 대변인은 지난 12일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장애인을 너무 많이 할당을 해서 문제라고 본다”며 “(김 의원은) 왜 국민의힘에서 공천을 받으려고 하느냐”고 말했다.
이어 “(비례대표 공천을) 전문가로 했으면 좋겠다”며 “그런데 (김 의원) 본인은 장애인이라 주체성을 가지는 게 아니라 배려받는 걸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또 김 의원을 향해 “본인이 장애인이라는 주체성을 가지는 게 아니라 배려 받는 걸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 “피해의식으로 똘똘 뭉친 것”이라는 등의 발언 등을 이어갔다. 박 대변인이 “김 의원 같은 사람이 ‘눈 불편한 것 말고는’ 기득권”이라고 말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현재 해당 영상은 유튜브 채널에서 찾아볼 수 없는 상태다.
이 같은 발언을 두고 장애인 비하라는 지적이 제기되며 논란이 급속히 확산됐다.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국회의원 300석 중 장애인 비례대표 할당이 과도하다는 주장은 다양한 목소리를 대변해야 하는 국회의 본질을 부정하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며 “장애인 등 소수자의 대표성 확보를 위한 할당제는 민주주의의 필수 요소이며 국민의힘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조차 갖추지 못했음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다”고 비판했다.
이어 “‘피해 의식으로 똘똘 뭉쳤다’는 인신공격성 발언까지 이어갔는데, 이는 장애인 인권에 대한 몰이해를 넘어 공당의 대변인으로서는 용납될 수 없는 비인도적 태도”라며 “국민의힘은 해당 망언에 대해 즉각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당내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사회에서도 거센 비판이 나왔다.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는 전날 논평을 내고 “장애를 이유로 특정 정치인의 자격을 문제 삼고 여성이라는 정체성을 공격 포인트로 삼는 혐오적 담론에 동조하거나 이를 확장하는 행위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과 정치적 대표성의 가치를 정면으로 훼손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 한국 국회의원 300명 중 장애인 비례의원은 단 3명, 즉 약 1% 수준에 불과하다”며 “이처럼 극히 낮은 장애인 대표성 상황에서 할당제를 문제 삼으며 장애인을 정당 정치의 ‘과잉 할당된 존재’로 보는 시각은 구조적 차별을 무시하는 무책임한 인식”이라며 국민의힘이 공식적인 입장 표명과 적절한 징계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외에도 한 친한계 유튜버는 이날 박 대변인이 ‘장애인 비하 발언’을 했다며 서울 마포경찰서에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논란이 확산되자 박 대변인은 전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뭐만 하면 무지성 혐오몰이 하는 스테레오타입부터 벗어야 한다. 장애인 할당하지 말라는 게 아니다”며 “장애인이라고 다른 집단에 비해 과대표 돼선 안 되며 마찬가지로 특정인에게 과도한 특혜를 주어야 할 이유가 될 수도 없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그 어떤 말로도 김예지라고 하는 개인이 국민의힘에서 두 번이나 비례대표 특혜를 받아야만 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며 “그렇게 특혜를 받은 김 의원은 국민의힘의 일원으로서 당론을 존중하고 당원들의 기대에 부응하려는 최소한의 노력이라도 기울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후 이날 오전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이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에게 이와 관련해 “내용을 정확히 보지 못해 지금 이 자리에서 말하기 조심스럽다”며 “다만 합리적이고 상식적인 보수를 지탱하는 분들이 보기에 부적절한 발언은 자제하는 게 맞다”고 밝히자 박 대변인은 이날 자신의 SNS에 추가 입장문을 게재했다. 박 대변인은 제기된 논란에 대해 일일이 해명하면서도 끝으로는 사과의 뜻을 전했다.
그는 “‘장애인 할당이 많다’고 주장한 것은 국회 전체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힘 비례대표 중 당선권(20번 미만)에 장애인이 3명이나 배정된 점을 지적한 것”이라며 “비례대표는 다양한 직능단체, 전문가들을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취지이며 김 의원은 비례대표로만 두 번이나 당선됐기에 ‘과대표 됐다’ 언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피해의식이라는 표현을 한 것에 대해서는 “김 의원이 논란이 된 법안(장기기증법 개정 등)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장애인이고 여성이기 때문에 더 공격을 받는다’는 취지로 주장한 것에 부적절성을 지적한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박 대변인은 “일부 과격하게 들릴 수 있는 표현들에 대해선 사과한다”며 “이유 불문 공당의 대변인이라는 직함에는 걸맞지 않은 발언들이 있었고 언어의 부적절성에 의해 내용의 정합성마저 부정당하게 만든 것 또한, 전적으로 제 불찰이다. 앞으로는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하겠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대변인은 “국민의힘 대변인은 김 의원을 향해 ‘장애인 할당이 과도하다’고 비난하고 장애인을 비하하는 유튜버의 발언에 동조하는 듯한 언급을 서슴지 않았다”며 “국회의원 300석 중 장애인 비례대표 할당이 과도하다는 주장은 다양한 목소리를 대변해야 하는 국회의 본질을 부정하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또 “더 나아가 대변인은 김 의원에게 ‘피해 의식으로 똘똘 뭉쳤다’는 인신공격성 발언까지 이어갔다”며 “이는 장애인 인권에 대한 몰이해를 넘어 공당의 대변인으로서는 용납될 수 없는 비인도적 태도”라고 꼬집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번 발언이 개인을 넘어 특정 집단에 대한 편견으로 읽힐 수 있다는 점에서 공직자는 발언의 사회적 영향에 보다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일각에서도 “공당의 대변인으로서 이해할 수 없는 어이없는 언행”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