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수 4개월 연속 하락…2009년 10월 이후 처음
6월 실업자 수‧실업률, 통계 시작한 99년 이후 최고치
【투데이신문 김효인 기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여파로 지난달 취업자 수가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35만 명 이상 감소하며 넉 달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9년 10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10년 만이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705만5000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35만2000명(-1.3%) 줄었다.
아울러 4개월 연속 취업자 수는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3월에 19만5000명, 4월 47만6000명, 5월 39만2000명, 6월 35만2000명이 감소했다. 이는 지난 2009년 10월부터 2010년 1월 이후 10년 만이다.
취업자수 감소는 업종별로 살펴보면 코로나19로 관광객이 줄어들면서 숙박·음식점업이 18만6000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도·소매업 17만6000명, 교육서비스업 8만9000명, 제조업 6만5000명 순이었다.
반면 취업자 수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16만4000명, 농림어업에서 5만2000명, 운수·창고업에서 5만명 늘어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에서는 취업자 수가 증가했지만 다른 연령대에서는 모두 감소했다.
60대 이상은 33만8000명 늘어났고 30대는 19만5000명, 40대는 18만명, 20대는 15만1000명, 50대는 14만6000명 줄었다. 특히 65세 이상 취업자가 21만3000명 증가한 배경에 대해 통계청은 코로나19로 인해 중단됐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사회복지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재개된 점을 들었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되지만 직무를 중단한 ‘일시휴직자’는 지난해와 비교해 36만명 늘어난 72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다만 전월 수치인 102만명보다는 규모가 줄어들었다. 3개월 연속 100만 명대를 유지하다 큰 폭으로 줄었다.
일시휴직자는 휴직 사유가 해소될 경우 일반취업자가 되지만 고용상황이 악화될 시에는 실업자, 또는 비경제활동인구로 잡힐 수 있다.
6월 기준으로 실업자 수와 실업률은 모두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업자 수는 9만1000명 늘어난 122만8000명이며, 실업률은 0.3%포인트 오른 4.3%로 집계됐다. 15~29세의 청년층 실업률도 10.7%로 나타났다. 6월 기준으로 1999년 11.4%를 보인 뒤 21년 만에 최고치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지난해보다 2%포인트 오른 13.9%로 집계됐다.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2.2%포인트 오른 26.8%로 확인됐다.
이날 통계청 정동명 사회통계국장은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모임이나 외출을 자제하면서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교육서비스업 중심으로 취업자가 감소했다”며 “지위상으로는 임시직에서 주로 감소했지만 연령대별로 보면 청년 감소폭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5월 이후에도 취업자 수는 계속 줄어들기는 하지만 감소 폭은 축소되고 있다”며 “예단은 어렵지만 증감 폭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김효인기자의 내맘대로 레트로 시리즈, 물티슈의 배신 시리즈, 젠더 이코노미 시리즈
좌우명: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