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공사 “NH투자증권 추천…안전하다고 판단”
이영 의원 “있을 수 없는 일…끝까지 파헤치겠다”

옵티머스펀드 공공기관 투자현황 ⓒ국민의힘 이영 의원실
옵티머스펀드 공공기관 투자현황 ⓒ국민의힘 이영 의원실

【투데이신문 이세미 기자】 공공기관 4곳이 옵티머스자산운용 펀드에 거액의 돈을 넣었다가 수십억원을 잃을 위기에 처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공공기관은 경조사비, 장기투병 지원금 등 직원들의 복지를 위한 사내근로복지기금을 펀드에 투자해 논란이 예상된다.

9일 국민의힘(전 미래통합당) 사모펀드 비리방지 태스크포스 소속 이영 국회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농어촌공사, 한국건설관리공사 등 4개 공공기관은 지난 1월 전후로 NH투자증권이 판매한 옵티머스 펀드에 80억원의 자금을 투자했다.

이 중 공공기관 3곳은 직원들의 장기투병 지원금, 생활안전자금 등에 써야 할 사내 근로복지금 60억원을 이 펀드에 부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금융실명법에 따라 펀드 투자자 명부 열람이 허용되지 않아 구체적인 공공기관명은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농어촌공사가 가장 많은 복지금을 펀드에 투자했다는 내용은 확인됐다.

농어촌공사가 이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사내 근로복지기금 280억원 중 30억원을 지난 1월 이후 옵티머스 펀드 34호(10억원)와 40호(20억원)에 두 번에 걸쳐 투자했다. 이는 이번에 확인된 공공기관의 복지금 활용 투자액의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다. 

두 펀드 모두 6개월 뒤 상환될 예정이었지만 옵티머스펀드가 환매 연기됨에 따라 투자금을 날렸고, 지난해 임직원 6000여명이 쓴 복지기금의 10배에 달하는 규모의 손실을 봤다.

이와 관련해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NH투자증권을 통해 당시 공공기관 매출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라고 소개를 받았고, 수익성과 안정성을 모두 고려해 투자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관리공사 또한 사내 잉여자금을 옵티머스펀드에 투자해 20억원을 잃었다. 현재 건설관리공사는 지난 7월 자체 감사에도 예적금 대신 투자 위험성이 큰 채권형 사모펀드에 투자하는 과정에 업무상 과실이 있다고 보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상태다.

정치권과 금융투자업계에선 농어촌공사 등 공공기관이 옵티머스펀드에 투자한 배경에 대해 강한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사내 복지기금은 원금 손실 가능성이 낮은 예금 등 금융상품에 투자해야 하지만 위험한 사모펀드에 투자됐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옵티머스 사건의 핵심 관계자인 A변호사가 지난 2018년 6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한국농어촌공사의 이사로 재직한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A변호사는 농어촌공사 이사 재직 후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으로 자리를 옮겼고, 이후 농어촌공사가 옵티머스 펀드에 투자했기 때문이다.

이에 이 의원은 “직원들의 후생복지를 위해 마련한 사내근로복지기금을 유례없는 금융상품에 투자해 환매중단에 놓인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부실 사모펀드 사태가 권력형 게이트로 이어진다는 국민적 의심을 계속해서 파헤치겠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외부압력은 있을 수 없는 구조”라며 “옵티머스펀드에 투자한 시점은 올해 1월이며 A변호사가 비상임이사를 그만둔 이후”라고 선을 그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