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하고, 사라지지 않는 행복이 ‘Super-Happy‘라면, 그런 행복은 존재합니까?”
“행복한 감정이 어떤 정점에 도달하는 것이라면 순간의 행복은 존재하겠지만,
분명 ‘Super-Happy’는 아닐 겁니다”
장영애는 이렇게 묻고 답한다. 그림을 그리는 명확한 이유를 알 수 있는 발언이다. 그림을 그리는 일은 사실 자신과 쉼 없이 대화하는 것이다.
창작은 분명 이렇게 슈퍼(Super)로 행복해지기 위해 타인에게 말을 건네는 아름답고 고단한 행위다. 장영애의 그림 그리기는 자신의 행복을 찾아가는 최적의 방법이자 최고의 선택이다.
그녀의 말 걸기 작업은 벌거벗은 여인의 몸짓으로부터 시작한다.
고개를 갸우뚱하게 숙이고 팔을 고인 채 아주 길게 땅바닥까지 늘어뜨린 팔<sound of silence>, 그 여인의 몸 앞에 심어진 장미<beside You>, 장미가 가득 심어진 꽃밭 아래 편안하게 누워있는 만삭의 여인 <warm communication>, 해바라기를 가득 안고 있는 벗은 여인<weight of silence>,푸른 장미꽃을 든 여인, 입을 삐쭉 내밀고 장미 꽃잎을 머리에 뿌려둔 여인<a glance of women>, 이 모든 여인이 목을 길게 늘어뜨리며 한결같이 모두 장미를 들고 있다.
그녀는 벗은 여인과 장미로 작품의 스토리를 구성한다. 그녀의 작품 속 여인들은 모두 다 장미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장미를 목에 두르거나, 머리에 올리거나 입에 물든가.
장미는 사랑과 로맨스의 상징으로 열정과 욕망, 기쁨, 아름다운 사랑이 떠오른다. 때로는 관능적 사랑과 위험한 유혹이 떠오르기도 한다.
심하게 변형된 인간 형태의 늘어진 여인의 팔과 장미의 상관관계로서 메타포는 분명하다. 이것만으로 그녀의 그림에는 여러 가지 이야기를 지닌 은유적 스토리가 숨겨져 있다.
알 수 없는 향기를 품어내는 야릇한 여인의 표정과 제스처가 장미와 지속적으로 결합해 등장한다. 장미는 적어도 작가의 내면이나 욕망을 드러내는 확실한 주체 사이에 놓인 중간지점의 메타포다.
작가는 그 메타포를 어떤 프레임 속에서 해방시키는 표현의 도구로 끊임없이 활용한다. 작업 노트에서 고백하듯이 해방의 욕구 속에 담겨있는 것은 삶에 대한 불안이다.
누구나 불안은 있다. 일상적인 현실이 주는 삶의 원초적인 불안인지 개인이 갖는 특별한 불안인지는 명료하지 않지만, 그 불안은 사랑에서 벗어날 수 없는 불안감으로 해석된다.
“남들과 다른 방식으로 살면 안 된다는 불안감이 나를 가뒀다. 그래서 나의 모습을 꺼내놓으려 한다”가 바로 장영애 작품의 본질이다.
작가에게 작업을 전시하는 일은 자신의 모습과 치부를 온전히 드러내는 과정이다. 작가는 스스로의 결핍이 무엇인지, 갈망·욕망은 무엇인지 마주하는 게 자신의 첫 번째 Super-Happy로의 과정이고, 첫 전시였다고 회상했다. 작가는 미술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을 내면의 눈을 마주치며 소통을 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삶의 불안, 고통 그리고 그것이 대상과 긴밀하게 소통하는 지점에서 행복을 찾고 있다.
그녀는 작품을 통해 독자와의 진정한 소통을 꿈꾼다. 소통은 그녀를 행복하게 한다. 그녀가 장미꽃을 안고 수없이 소통을 시도하지만, 시지프스 바위처럼 또다시 그녀에게 되돌아온다. 그녀는 Super-Happy를 위한 소통을 감행한다. 그녀는 작품으로 우리에게 말을 건다.
그녀의 작품에서는 등장하는 인물의 다양한 구성과 형태가 돋보인다.
장영애 작가의 인물들의 묘사를 살펴보면 독특하게도 인물 가운데에 구멍이 뚫려있거나 얼룩이 드리워져 있다. 형태도 심하게 왜곡됐다. 목이 길게 늘어진 인물들조차도 연인과의 포옹에서도 결핍된 그로테스크한 감정이 노출된다.
마치 “나도 내 작품을 다 이해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한 영국의 화가 프랜시스 베이컨처럼 장영애도 자유로운 해석의 여지와 여운을 슬며시 보여준다. 장영애는 인물이란 대상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녀가 가진 불안의 형상을 그린다.
그것은 자기 몰입으로 자신의 모습과 대면하고 부딪치는 갈등으로서의 ‘결핍의 초상’인 것이다. 그 갈등의 순간에 작가는 대금을 분다고 했다.
(사)한국미협 학술평론분과 위원장
작가는 숨을 쉬고 느끼며 아파하고 사랑하는 살아있는 존재를 그려야 한다는 뭉크의 일기에 매우 공감한다.
자신의 고뇌를 충실하게 소통하고자 하는 장영애의 그림은 독특한 인물 표현과 장미 모티브로 자신만의 독자적 언어를 구축했다.
‘나’를 잃어버린 사람들이 자신을 돌아보길 바라는 마음으로 그림을 그렸었다면, 지금 그녀는 연못에 비친 자신을 보려고 애썼고, 그 초상이 장미꽃 앞에서 여러 가지 얼굴로 서성이고 포옹하고 궁금해하는 모습이다. 이것이 장영애가 보여주는 작은 거울이다.
장영애 회화의 가장 큰 매력과 특징은 그것이 무엇이든, 어떤 형태든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는 사실이다. 그것이 회화의 가장 큰 힘이며 소통을 원하는 예술가가 지닌 가장 이상적인 메시지다.
관련기사
- [김종근의 나는 이 작가를 주목한다㉚] 당신도 전후연처럼 잊을 수 없는 사람이 있나요
- [김종근의 나는 이 작가를 주목한다㉙]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세상 진풍경, 그 풍자
- [김종근의 나는 이 작가를 주목한다㉘] ‘장갑작가‘ 정경연, 장갑으로 세상을 따뜻하게 품다
- [김종근의 나는 이 작가를 주목한다㉗] 배우에서 화가로 변신한 김혜진, ‘또 하나의 페르소나를 찾아서‘
- [김종근의 나는 이 작가를 주목한다㉖] 데미안 허스트를 넘는 세계적 설치미술 작가 서도호
- [김종근의 나는 이 작가를 주목한다㉜] 변시지의 외로움과 슬픔의 노래
- [김종근의 나는 이 작가를 주목한다㉝] 한 줄기 햇살 같은 기도문 –이창분
- [김종근의 나는 이 작가를 주목한다㉞] 선을 통한 정신성과 인간 표현-서세옥
- [김종근의 나는 이 작가를 주목한다㉟] 위험한, 그러나 성공적인 표현들-신종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