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삼당건수 5만2484건, 금융관련 상담 222.5% 증가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

【투데이신문 이세미 기자】 주식 등 개인투자 열풍이 지속되면서 금융 상품 관련 소비자 상담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소비자원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1372소비자 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상담을 분석한 결과, 지난달 전체 상담 건수는 5만2484건으로, 지난해(6만4412건) 대비 18.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각종 금융상품과 관련된 상담이 지난해 대비 222.5%로 가장 크게 늘었으며 이어 ‘주식’(80.8%), ‘각종인테리어설비’(46.6%) 등의 상담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금융상품 관련 상담의 경우 국제 발신번호로 ‘해외결제 승인’ 스미싱 문자가 수신된 것에 대한 문의가 많았다고 밝혔다.

‘주식’ 부문은 증권사 모바일 트레이딩 서비스(MTS)를 통해 거래를 하던 중, 전산장애로 매매가 되지 않아 투자손해가 발생한 사안에 대한 불만이 대표적이었다는 설명이다. 

이밖에 신발·운동화 상담이 전월대비 85.6%로 크게 증가했고, 캐주얼 바지(80.7%)와 각종 인테리어 설비(61.9%)가 뒤를 이었다. 이는 봄철 의류와 인테리어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상담 건수가 가장 많았던 대상은 ‘유사투자자문’에 대한 것으로, 2316건을 기록했다. 이어 ‘이동전화 서비스’(1945건), ‘헬스장’(1365건)으로 나타났다.

유사투자자문업은 불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인터넷 방송, 문자 메시지, 블로그 등을 통해 대가를 받고 투자 조언을 해주는 업종을 말한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10일 단위로 분석한 결과, ‘유사투자자문‘이 초순부터 하순까지 계속해서 상담이 가장 많았으며, 계약 해지 및 환불 관련 상담이 주를 이뤘다”라고 말했다.

한편 상담 사유를 살펴보면 품질·사후서비스(A/S) 관련 상담이 25.4%로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계약 해제·위약금(23%), 계약불이행(12.9%) 등이다.

연령대별로는 40대 소비자가 1만3699건(27.8%)으로 가장 많은 상담 접수를 신청 했으며, 이어 30대 1만3305건(27.0%), 50대 1만314건(21.0%)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만5987건(30.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특별시’가 1만1568건(22.0%), ‘부산광역시’ 3413건(6.5%), ‘인천광역시’ 2905건(5.5%), ‘경상남도’ 2361건(4.5%)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