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김효인 기자】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로 민간소비가 위축된 만큼 향후 경기회복 과정에서 억눌린 소비가 되살아나는 ‘펜트업(pent-up)’ 효과가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6일 발간한 BOK 이슈노트에 실린 ‘향후 펜트업 소비 가능성 점검’ 보고서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누그러지면서 ‘보복소비’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고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같은 보복소비 가능성에는 지난해 소비 감소세가 경기 부진 수준보다 더 높게 나타난 점이 주효하게 작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1.0% 감소했지만, 민간소비의 감소 폭(-4.9%)은 이보다 크게 나타났다.
경기 부진에 더해 감염병 확산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방역 조치 등이 소비를 상당 폭으로 제약했으며, 내국인의 해외여행 급감 또한 주된 소비 위축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대면 활동에 따른 민간소비는 크게 줄어들었다. 오락·스포츠(-21.3%), 교육서비스(-15.4%), 음식·숙박(-12.7%), 의류·신발(-16.5%) 소비가 모두 하락했다. 내국인의 국외 여행(-58.5%)과 외국인의 국내 여행(-64.4%)은 더욱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에 경제 위축이 컸던 만큼 코로나19 확산세가 누그러지고, 정부의 소비장려책으로 인해 억눌렸던 가계 소비가 분출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백신 접종 등이 진행되며 가계의 소득과 고용 여건이 개선되면 미래 소득에 대한 불확실성이 낮아지며 소비심리가 회복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은행 조사국 조사총괄팀 이용대 과장은 “지난해 사회적 거리두기와 코로나19 감염 우려에 다른 소비 감소분을 계산해보면 연간 민간소비(명목)의 약 4%포인트 정도로 추정된다”며 “앞으로 되살아나는 민간소비를 4%포인트가량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말했다.
다만 억눌렸던 민간 소비가 분출되는 속도는 더딜 수 있을 전망이다.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세로 전반적인 소비는 줄었지만, 자동차와 가구·전자제품 등 내구재 소비는 11.4% 늘어났다. 가계가 대면 활동과 여행 등의 소비를 줄이는 대신 내구재 소비를 늘린 영향이다. 특히 실내활동이 늘어나고 재택근무가 활성화되며 가구와 가전제품 소비를 늘린 것으로 해석된다.
‘보복 소비’의 변수로는 가계가 소비 대신 저축을 선택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위기를 겪은 뒤 이에 대비하려는 경향이 이어지며 돈을 쌓아둘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국내 가계 저축률은 3.6%(2009~2014년)에서 6.0%(2019년)로 크게 늘었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위기가 장기화하고 소득과 고용 여건 개선이 지연된다면 가계가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려는 경향이 강화돼 소비 개선이 제약될 소지가 있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김효인기자의 내맘대로 레트로 시리즈, 물티슈의 배신 시리즈, 젠더 이코노미 시리즈
좌우명: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