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세진 기자】 연일 찜통더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방역 현장 의료 인력의 원활한 업무 수행을 위한 폭염 대책을 마련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중대본 정례브리핑을 통해 임시선별검사소 및 예방접종센터 폭염 대책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임시선별진료소의 경우 지난 7월 초 마련된 운영방안을 토대로 △간편복 권장 △휴식 공간 마련 및 특정 시간 업무량 집중 방지 △운영시간 탄력 운영 △그늘막·양산 비치 △냉방 용품 지원 등을 시행하고 있다.
중대본은 하절기 운영수칙을 통해 레벨 D 전신 보호복이 아닌 KF94 동급 호흡기 보호구, 장갑, 방수성 긴팔 가운, 고글 또는 안면보호구와 같은 긴팔 가운 4종 세트 사용을 권장한다.
이어 검사 대기 시간 및 밀집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혼잡도 안내 서비스 및 사전예약제를 전국에 확산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대기 인력이 증가하면 임시선별검사소에 냉방 설비 컨테이너 공간 설치, 필요 물품 및 추가 인력을 지원할 예정이다.
낮 기온이 33도가 넘어 기상청 폭염경보가 발령하는 14시~16시에는 임시선별검사소의 운영이 중단된다. 국민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광역 단위 공통 적용 및 탄력 운영 시 사전 안내·홍보를 강화해 불편함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 20일 기준 의료 인력 총 934명을 지원했다. 또 국비 122억원, 특별교부세 94억원 등 재정적 지원도 이뤄졌다. 이에 더해 지자체에서 폭염대책비 24억4000만원을 추가 지원했다.
전국적으로 282개소를 운영 중인 예방접종센터도 지자체 및 행안부의 수시 점검이 시행되고 있다.
예방접종센터에서는 실외 대기자를 위한 대형선풍기 및 얼음물·부채·냉스카프·양산 등을 제공한다. 또 실외 대기 장소 및 셔틀버스 승·하차 장소에 천막 등을 추가로 설치했다. 정전을 대비해 지자체 재난부서 및 한국전력공사. 전기안전 공사와 협업 체계를 구축해 2~3주 간격으로 합동 점검을 하고 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여기, 사람 삽니다], [H세대], [당신은 알지 못하는 삶]
좌우명: 사람 살리는 글을 쓰겠습니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