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진이 생수를 목에 대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의료진이 생수를 목에 대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뉴시스

【투데이신문 박세진 기자】 연일 찜통더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방역 현장 의료 인력의 원활한 업무 수행을 위한 폭염 대책을 마련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중대본 정례브리핑을 통해 임시선별검사소 및 예방접종센터 폭염 대책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임시선별진료소의 경우 지난 7월 초 마련된 운영방안을 토대로 △간편복 권장 △휴식 공간 마련 및 특정 시간 업무량 집중 방지 △운영시간 탄력 운영 △그늘막·양산 비치 △냉방 용품 지원 등을 시행하고 있다.

중대본은 하절기 운영수칙을 통해 레벨 D 전신 보호복이 아닌 KF94 동급 호흡기 보호구, 장갑, 방수성 긴팔 가운, 고글 또는 안면보호구와 같은 긴팔 가운 4종 세트 사용을 권장한다.

이어 검사 대기 시간 및 밀집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혼잡도 안내 서비스 및 사전예약제를 전국에 확산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대기 인력이 증가하면 임시선별검사소에 냉방 설비 컨테이너 공간 설치, 필요 물품 및 추가 인력을 지원할 예정이다.

낮 기온이 33도가 넘어 기상청 폭염경보가 발령하는 14시~16시에는 임시선별검사소의 운영이 중단된다. 국민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광역 단위 공통 적용 및 탄력 운영 시 사전 안내·홍보를 강화해 불편함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 20일 기준 의료 인력 총 934명을 지원했다. 또 국비 122억원, 특별교부세 94억원 등 재정적 지원도 이뤄졌다. 이에 더해 지자체에서 폭염대책비 24억4000만원을 추가 지원했다.

전국적으로 282개소를 운영 중인 예방접종센터도 지자체 및 행안부의 수시 점검이 시행되고 있다.

예방접종센터에서는 실외 대기자를 위한 대형선풍기 및 얼음물·부채·냉스카프·양산 등을 제공한다. 또 실외 대기 장소 및 셔틀버스 승·하차 장소에 천막 등을 추가로 설치했다. 정전을 대비해 지자체 재난부서 및 한국전력공사. 전기안전 공사와 협업 체계를 구축해 2~3주 간격으로 합동 점검을 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